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범국가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행 협의체'가 구성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유엔개발계획(UNDP)과 공동으로 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CSR 이행과 국내외 기업의 대응'이란 주제로 국제세미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 전경련과 산업자원부는 "지난 3월9일 체결된 투명사회협약을 적극 실천하고 최근 유엔,국제표준화기구(ISO) 등 여러 국제기구에서 CSR의 국제 표준을 제정하는 데 맞춰 민관합동 CSR 이행 협의체를 구성,운영키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개별 기업 차원에서 다양한 방식의 사회공헌활동으로 진행돼 온 CSR 이행이 범국가 차원에서 더욱 조직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엔 등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한 CSR의 제도화 움직임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돼 세계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글로벌 이슈인 CSR 유엔은 사회적 문제에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등 4개 분야,10대 원칙을 규정한 '유엔 글로벌 컴팩'을 출범시켰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2천개 이상의 기업이 가입했고 중국 기업 43개,일본 기업 32개가 참여했지만 우리 기업은 아직 한 곳도 가입하지 않았다. 전경련은 회원사를 대상으로 '유엔 글로벌 컴팩' 가입을 적극 권유할 계획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 기업들이 여러 군데 가입할 경우 올해 안에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의 한국 방문과 '유엔 글로벌 컴팩' 가입식이 성사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뿐 아니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국제거래의 부패와 뇌물 방지,기업지배구조 등에 대한 국제규범을 제정했고,ISO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달 노무현 대통령과 정·관계 및 기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투명사회협약을 체결해 어느 때보다 CSR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성장을 위한 투자 CSR를 둘러싼 국내외 환경 변화에 맞춰 전경련은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실천키로 했다. 여기에 정부도 인센티브제도 등을 시행,민간의 노력을 뒷받침할 방침이다. 민관의 이 같은 노력은 'CSR 이행 협의체'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재계 관계자는 "CSR는 시혜적 차원의 사회공헌활동이 아니라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투자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며 "기업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와 정부의 지원이 합쳐지면 CSR 이행을 통해 기업과 국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반이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미나에서 블라토 UNDP 한국 대표는 "CSR는 도덕적 의무이자 책임이면서 매우 강력한 마케팅 도구로 당장의 이익은 적을지 모르나 장기적으로는 투자에 대한 이득을 늘리고 주식가치를 높일 수 있다"며 한국 기업의 적극적인 유엔 글로벌 컴팩 가입을 촉구했다.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포럼의 로버드 데이비스 대표는 "한국은 아직 소비자 및 투자자로부터 받는 사회적 책임 이행 압박이 선진국보다 적은 편이나 국제화의 급진전 속에 앞으로는 더욱 커질 것"이라며 "CSR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경영 기자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