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지방확산] 대전.부산등 20여곳 벌써 과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앞으로 지방 대도시에도 재개발 바람이 불어닥칠 전망이다.
재개발조합 추진위원회만 설립하면 시공사를 선정할 수 있어 사업 추진이 훨씬 수월해진데다 분양가 상승으로 사업성도 크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부산 대전 등 땅값이 비싸고 분양가가 급상승하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에 버금가는 재개발 붐이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방 대도시도 재개발 열기 속으로
지방에서 재개발이 시작된 곳은 부산 대전 천안 원주 광주 등지다.
부산에선 올해 안에 10여곳에서 수주전이 벌어질 예정이다.
다만 부산시가 수주전 과열을 우려해 조합설립인가 후에나 시공사를 선정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어서 본격적인 수주전은 하반기에 벌어질 전망이다.
도시계획상 재개발 대상이 10여곳에 이르는 대전에선 벌써 과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9일 시공사를 선정하는 대전역 인근 대흥 2구역에선 코오롱건설과 계룡건설이 출혈경쟁을 벌이고 있다.
'코오롱 고급아파트,계룡 임대아파트''부실기업은 안됩니다' 등 상대방을 비방하는 현수막이 나붙는가 하면 무이자 이주비지원금을 당초 제시액보다 2배 이상 늘리는 등의 파격적인 조건을 내세우면서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구애작전을 펼치고 있다.
인근 대흥1구역도 오는 23일 총회를 열어 시공사를 선정한다.
현재 GS건설과 두산산업개발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5~6곳에서 재개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 천안에선 GS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 SK건설 등이 물밑에서 탐색전을 펼치고 있다.
GS건설 관계자는 "경부고속철,행정도시건설 등의 호재가 많아 업체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며 "조만간 천안에서도 재개발 수주전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광주 원주 등지에서도 재개발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지만 아직은 사업성이 떨어져 건설업체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고 있다.
◆수익성 생기면서 가속도 붙어
건설업체들은 분양가가 평당 6백만원은 돼야 재개발사업의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아니면 그냥 빈 땅을 사서 아파트사업을 하는 것이 낫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방의 아파트 분양가가 폭등하면서 재개발사업의 수익성이 생긴 곳이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다.
건설업체들은 부산 대구 대전 천안 등은 사업성이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땅값 폭등으로 인해 주택사업지를 확보하기 어려운 데다 분양 위험도 커짐에 따라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재개발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며 "올해 안에 수도권 50~60곳,지방 20~30곳에서 재개발사업 수주전이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