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총선에서 낙선했거나 당직을 지낸 여당 인사들의 정부직 입성이 줄을 이으면서 '선거 보은인사 시비'가 일고 있다. 8일 국민고충처리위원장에 임명된 송철호 변호사는 얼마 전까지 열린우리당 울산 시당위원장을 지낸 여권인사다. 특히 송 위원장은 지난해 17대 총선 때 울산에서 여당 후보로 출마하려다 선거법 위반 혐의로 사법당국의 조사를 받음에 따른 당의 불출마 권유로 꿈을 접고 다른 후보들의 선거를 도왔다. 지난 4일 공직에 복귀한 추병직 건교부 장관도 지난해 총선 당시 건교부 차관직을 사퇴하고 여당의 경북도당위원장을 맡아 경북 구미에서 출마했다가 고배를 마셨다. 더욱이 선거법 위반혐의로 벌금형까지 받은 추 장관 기용에 '지역구도 해소를 위한 영남 출전에 대한 배려'라는 해석이 따라붙었음은 물론이다.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 역시 지난해 부산 행정부시장을 지내다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여당 후보로 출마했고,이영탁 증권선물거래소 이사장 또한 국무조정실장을 그만두고 경북 영주에서 출마했다가 낙선한 케이스다. 권욱 소방방재청장과 정해주 한국항공 사장,공민배 대한지적공사 사장,윤덕홍 한국학중앙연구원장,최홍건 중소기업특별위원회위원장 등도 '총선 징발에 따른 보상' 차원 인사로 분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강철 청와대 시민사회수석과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정윤재 국무총리 민정2비서관,노혜경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송인배 청와대 행정관 등도 낙선 후 공직에 임명된 경우다. 박양수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은 여당 조직위원장 출신이고 한행수 대한주택공사 사장은 여당 재정위원장을 지냈다. 한나라당은 "전형적인 정치 빚갚기 인사,국민고충이 아닌 열린우리당 고충처리를 위한 인사"라고 혹평했다. 전여옥 대변인은 "능력을 따지는 게 아니라 정부 여당을 위해 어떤 일을 했느냐가 인사의 기준이 되고 있다"며 "최근 사퇴도미노가 일어났던 것도 이런 무원칙한 인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재창·양준영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