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 굴삭기 등을 운반하는 저상(low bed)트레일러 차주들이 건설중장비 화주(貨主)들의 과적 요구 관행에 반발,일주일 넘게 운송을 거부하면서 건설현장에서 공사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다만 건설중장비 화주들로 구성된 대한건설기계협회에서 조만간 '과적 요구 관행을 개선하겠다'는 뜻을 밝힐 것으로 전해져 다음주가 '건설중장비 운송 대란'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빠른 시일 안에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지방의 트레일러 차주들까지 운송 거부에 동참할 가능성이 커 피해 확산이 우려된다. 8일 건설교통부와 서울로베드트레일러협의회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건설중장비를 운반하는 저상트레일러 2백여대(건교부 파악) 가운데 1백대 이상이 지난 1일부터 적재정량(트레일러 포함 40t)을 넘는 화물운송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로베드트레일러협의회 관계자는 "총중량 기준을 초과하는 트레일러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중장비 화주들이 종전처럼 과적 운행을 요구하면서 범칙금 급증 등의 피해가 고스란히 차주에 전가되고 있다"고 운송거부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법 규정이 바뀌든가 아니면 화주가 스스로 건설장비를 분해해 싣도록 하지 않으면 정상 운행이 어렵다"며 "법에서 정하고 있는 중장비 운송차량 폭(2.5m) 기준은 현실성이 없는 만큼 기준을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윤성오 건교부 도로환경과장은 "트레일러 기사들과 화주들 사이에 의견 절충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빠르면 오는 11일께 결론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부 건설현장이 어려움을 겪을 뿐 수출물량 처리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