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로 신성장 동력 찾는다.. 거대기업 인수합병 확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세계적으로 메가톤급 인수합병(M&A)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기업의 보유 현금이 늘어난 데다 저금리 기조로 외부자금 조달이 훨씬 쉬워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인터넷 거품 붕괴 이후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했던 상당수 기업들이 매출 증대와 수익성 개선이란 과제를 M&A에 의한 규모의 확대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M&A 시장이 갈수록 확대되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올해 미국에서만 M&A 규모가 1조달러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미국 이어 유럽도 M&A 열풍
작년 말 시작된 미국의 M&A 열풍은 유럽지역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스페인 부동산 업체인 메트로바세사는 프랑스 부동산업체 제시나를 1백억달러에 인수키로 했으며 프랑스 주류업체인 페르노리카도 영국 얼라이드 도멕을 1백30억달러에 사겠다고 선언했다. 또 스페인에서 두번째로 큰 은행인 BBVA는 90억달러에 이탈리아 은행 BNL의 인수를 추진 중이다. ABN암로는 이탈리아 은행인 방카 안토베네타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의 전력 및 가스회사 민영화도 예정돼 있어 유럽 M&A 시장은 앞으로 더욱 달아오를 전망이다.
초대형 M&A가 확대되고 있는 것과 관련,법률회사인 셔먼&스털링의 피터 리용 M&A부문 대표는 "이미 충분한 구조조정을 거쳤기 때문에 기업 내에서는 이제 더 이상 대폭적인 비용 절감을 할 여지가 없어 이익과 매출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 M&A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모건스탠리에서 M&A 업무를 담당하는 파울로 페레리아는 "많은 기업들이 구조조정을 충분히 한 데다 작년 이익이 늘어나 자신감도 붙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 S&P500 기업이 보유한 현금이 6천억달러에 달하는 데다 이자부담도 낮아 자금 여력이 풍부한 상태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세계 각국 기업을 대상으로 사모펀드가 적극적으로 기업사냥에 나서면서 M&A 시장이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영화 스튜디오인 메트로골드윈메이어를 최근 4개의 사모펀드가 48억달러에 인수했고 그리스의 이동통신 업체인 TIM헬라스도 최근 최대주주가 사모펀드로 바뀌기도 했다.
◆핵심역량에 집중
지난 1990년대 M&A 열풍이 불었을 때는 기업 인수를 통해 새로운 사업부문에 진출하는 기업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모펀드를 제외하면 동종업체간 M&A가 대세다. 사업 다변화보다는 고유 업종에서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기업이 늘고 있는 것이다. 실제 P&G는 질레트 인수를 통해 소비자용품시장 석권을 노리고 있으며,통신업체인 SBC는 AT&T를 발판으로 통신시장 영역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제약 분야에서는 노바티스가 헥살을 인수키로 했으며,금융업 및 유통,통신업종의 '몸집키우기'를 위한 M&A도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초대형 케이블TV업체인 미국 컴캐스트가 타임워너와 함께 5백만명의 고객을 보유한 아델피아 커뮤니케이션을 사기로 한 것도 동종업종에서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포석이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