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설비투자에서 외국산 기계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늘면서 설비투자의 수입자본재 의존도가 50%에 육박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와 LCD, 휴대전화 등 첨단 IT(정보기술)의 수출이 크게 늘면서 외국산 첨단기계류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덩달아 높아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설비투자의 수입자본재 의존도는 지난 1995년 35.8%에서 2000년 37.0%, 2003년 40.9%로 각각 높아진데 이어 지난해는 49.3%로 급등했다. 특히 지난해 3.4분기에는 설비투자의 수입자본재 의존도가 51%를 기록, 한은이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5년 이후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부문별로는 반도체제조용장비의 수입의존도가 2003년 67.2%에서 지난해 72.3%로올라갔으며 정보통신상품의 수입자본재 의존도는 38.8%에서 45.2%로 높아졌다. 정밀기계류는 87.1%에서 91.2%로, 특수산업용기계는 52.4%에서 55.6%로 각각 높아졌다. 운수장비의 수입의존도는 2003년 13.2%에서 지난해 22.5%로 높아졌다. 한은 관계자는 "수출과 수입자본재 투자의 상관관계지수는 0.78, 가계소비와 국산자본재 투자의 상관관계지수는 0.88로 상당히 높은 편"이라면서 "이는 첨단 IT산업의 수출비중이 커지면서 수입자본재 투자 비중도 함께 커지는 반면 내수가 위축되면 국산자본재 투자도 함께 위축되는 특징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상관지수가 1이라면 수출이 1만큼 늘때 수입자본재도 1이 증가하는 식이다. 첨단 IT 분야의 설비는 단기간에 국산화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수출증가와 함께 수입자본재의 투자가 더 크게 증가하는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