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6천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될 대형 연구개발 실용화 사업을 위한 예비 타당성 조사가 시간적으로 너무 짧은 데다 기업 전문가 불참 등으로 인해 자칫 부실하게 진행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3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정부는 국가 대형기술 가운데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10개를 선정해 이 가운데 9개에 대해 각기 조사기관을 배정,지난달부터 예비 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의 경우 완료 시한이 두 달도 채 안되는 이달 말까지로 정해져 있는 데다 기관별 전담 연구인력 수도 많아야 서너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하고 있는 한 기관의 연구원은 "3명의 연구원이 촉박한 일정으로 연구하고 있다"며 "충실한 평가를 위해 좀 더 충분한 시간과 예산이 주어지지 못한 게 아쉽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대부분의 과제에 대해 정부 산하 연구기관이나 대학이 조사를 전담하고 있어 기술상용화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산업계 참여를 배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한 과제의 경우 평가를 도울 외부 전문위원 10명 가운데 기업 출신은 단 한명도 없다. 한 연구원은 "사업 타당성에 대해 산업계 전문가들의 평가를 광범위하게 수렴해야 하지만 현재로선 힘들다"며 "설문 등으로 대체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