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베를린의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실에서 열린 한·독 정상회담에서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증설방안과 함께 양국간 경제협력 강화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노무현 대통령과 슈뢰더 총리는 "과학기술 선진국인 독일과 정보기술(IT) 강국인 한국이 첨단산업과 과학기술 분야뿐 아니라 중소기업간 협력에서도 서로 도움이 되는 파트너가 될 것"이라는 점에 공감했다고 배석한 정부관계자들이 전했다. 이에 맞춰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은 12∼13일 베를린,14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양국 중소기업간 기술협력과 교역을 상담하는 '테크노 카라반' 행사를 주관했다. 한국의 중소기업 60개,독일 1백50개사가 이 행사에 참석,무역·투자 상담을 벌였다.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도 베를린에서 한국의 지상파DMB 시연회를 가졌으며 정부 차원에서 중소기업 등의 교류협력을 지원키로 했다. 정상간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노 대통령은 14일 프랑크푸르트에서 독일의 주요 기업 CEO들을 초청,원탁회의를 열고 대한(對韓)투자 확대를 재차 호소할 예정이다. 한편 노 대통령은 이번 독일방문 기간 중 일반의 예상과는 달리 대일(對日) 발언을 계속 자제하는 모습을 보여 주목된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도 노 대통령은 일본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문제에 대해 "한국에서 일본 지도자를 만나거나 일본에 갈 때 말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때 말하는 게 좋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한편 청와대는 13일 노 대통령이 메가와티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을 통해 평양 방문 의사를 밝혔다는 일부 외신 보도를 강력 부인했다. 그렇지만 다소 곤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노 대통령이 불과 이틀 전 베를린 동포 간담회에서 "남북관계에서도 때로는 쓴소리를 하고 얼굴 붉힐 때는 붉혀야 한다. 남북관계는 상호 존중하고 약속을 지키는 데서 이뤄져야 한다"고 천명한 상황에서 제3자를 통한 방북의사 타진설이 불거져 나왔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정일 위원장이 답방 약속을 했으면 지키는 게 도리라는 입장에 전혀 변화가 없고,북한이 6자회담에 응하지 않고 있는 현 상황에서 노 대통령의 북한방문은 논리적으로도 모순"이라고 말했다. 베를린=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