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에서 17일 폐막된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춘계 정례합동회의가 환율,고유가 등에 대비한 실효성있는 대책을 찾지 못하자 이들 국제경제기구의 무용론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선진 7개국(G7)도 중국 러시아 등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확대개편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선진권이 주도하는 국제경제기구 운영에 대한 강한 불만은 중남미 및 아프리카 개발도상국들이 결성한 'G24'에서 먼저 나왔다. G24의 아리엘 부이라 사무총장은 최근 IMF 회담 등을 겨냥한 성명을 통해 "개도국들이 IMF와 세계은행의 의사결정에 더 많은 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IMF와 세계은행 지배구조가 국제경제 실상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주장했다. 미국과 함께 국제경제기구 운영을 주도하는 일본조차 부이라 사무총장에 박자를 맞췄다. 다니가키 사다카즈 재무상은 16일 "IMF 표결권과 직결되는 쿼터배분에서 아시아 역할 확대를 배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G7 무용론'도 세를 얻고 있다. 유럽에서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등 4개국이나 G7에 포함된 것은 현 국제경제의 역학구도상 모순이 많다는 것이 비난의 요지다. G7이 선진권의 입장만 대변할뿐 개도국이나 제3세계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로이터통신은 G7이 유가 환율 재정적자 등 핵심 경제현안에서 이렇다할 대책을 내지 못하는 등 맥빠진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하면서 유럽연합(EU)을 하나로 묶어 미국 EU 일본 중국의 'G4'로 바꾸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