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지방행정 체제 개편을 한 목소리로 주장하고 나섬에 따라 국회 차원의 논의가 급물살을 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행정단위 재편은 과거에도 여러차례 제기됐지만 현실적 문제 등으로 쉽사리 진전을 보지 못했던 사안이다. 특히 국민들의 광범위한 여론 수렴이 필요한 장기 과제인데다 정치권의 이해관계도 복잡하게 얽혀 있어 간단한 과제가 아니라는 관측이 일반적이다. 여야는 행정체제 개편의 배경으로 변화된 사회환경과 질 높은 행정서비스 제공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행정체제는 선거구와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각 당의 정치적 이해득실과 연결돼 있다는 분석이다? 우선 열린우리당은 기존의 도 경계를 허물 경우 지역장벽이 낮아져 취약지역인 영남권에서도 일정 지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전국을 60개 정도의 광역시로 재편하자는 열린우리당의 주장은 광역시별로 4명 안팎의 국회의원을 뽑는 중·대선거구제로 바꾸자는 뜻으로 들릴 수도 있다? 최근 문희상 의장이 지역구도 극복을 위한 선거제도 개선을 강조하고 있는 것과도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행정체제 개편에 대해서 한나라당은 영남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으로부터 포위돼 있는 현 상황을 타개하고 호남에서의 기반을 마련하는 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여당이 행정체제 개편을 중·대선거구제 도입과 연계할 경우 협상에 나설 수 없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행정체제 문제가 여야의 정치적 이해다툼으로 변질될 경우 상당기간 표류할 가능성이 크다?여야 모두 2006년 지방선거 이후에 본격적인 공론화 과정을 거치자는 입장이어서 행정체제 개편 여부는 빨라야 2010년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결론이 날 전망이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