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공공기관의 지방이전 발표가 계속 연기되면서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지방자체단체들은 속을 태우고 있는데요, 특히 내년 기초단체장 선거를 앞두고 유치전이 한층 가열되고 있어 결과에 따른 후유증도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종식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국토지공사 행사장에 띠를 두른 낯선 사람들이 무언가를 열심히 홍보하고 있습니다. 외판원인가 싶었는데 알고보니 충주시에서 올라온 공무원들입니다. 토공을 자기고장으로 유치하기위해 시청직원뿐만 아니라 지역 대학교와 방송국, 새마을회까지 총동원돼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정종수 충주시새마을회 회장] "우리고장에 공공기관이 온다면 임금처럼 모실 것이다." 공공기관들이 이전을 희망하는 1순위지역은 당연히 수도권과 가까운 충청권과 강원권. 하지만 정부는 주공과 토공, 도로공사와 같이 제일 먼저 옮겨가는 건교부 산하 공기업들의 경우 낙후도가 심한 오지로 보낸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어 관련 공사직원들은 긴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수도권과 거리가 먼 지자체들은 이전에 따른 반사익이 큰 굵직한 공공기관을 끌어오기 위해 저마다 최고의 조건을 내걸고 유혹하고 있습니다. 마산시의 경우 주택자금의 장기저리 융자와 아파트 우선분양권 배정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진주시는 지방세 감면을, 김해시는 신축부지 무상임대, 창녕군과 함양군은 각각 10만평과 43만평의 부지를 무상제공하겠다고 나섰습니다. 경상도 지역내 경쟁만해도 이처럼 치열하다보니 시.군마다 가능한 인맥을 총동원해 유치총력전에 돌입한 상태입니다. 유치전이 가열되고 있는 이유는 균형발전위원회가 이전 대상 기관을 시.도별로만 발표하고 세부적인 위치는 시.도에서 결정한다는 방침때문. 최종 선정과정에서의 시.군의 로비와 이익단체간 알력으로 엄청난 혼란이 우려되기도 합니다. 여기에 내년에 있을 기초단체장 선거가 유치전에 기름을 붓고 있어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낙후지역의 활성화라는 취지는 퇴색된 채 지자체간 잡음만 생기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습니다. WOWTV-NEWS 이종식입니다. 이종식기자 jsle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