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중국이 당ㆍ정ㆍ군 간부들에게 반일시위에 참가하지 말라고 지시하고 베이징(北京)주재 일본대사관의 피해를 원상복구해 주겠다며 유화책을 내놓고 있는데 대해 "진의를 알 수 없다"며 경계심을 허물지 않고 있다. 외무성 일각에서는 중국이 적반하장으로 일본주재 중국 공관 등의 피해보상을 요구하며 일본정부의 사과와 배상요구를 계속 무시하고 있는 사실을 들어 아시아ㆍ아프리카 정상회의때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간 정상회담도 "시간이 나면이나 할까"라며 일본으로서도 급할게 없다는 볼멘 소리도 나오고 있다. 호소다 히로유키(細田博之) 관방장관은 19일 베이징과 상하이(上海)의 시위피해배상 움직임에 대해 "그런 정보가 있지만 어떤 내용인지 모르기 때문에 평가는 하지 않겠다"면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상 움직임에 대해 외무성의 한 간부는 "일본 기업 등에 대한 위로라는 점에서 잘된 것 아니냐"고 환영했으나 다른 간부는 "일본은 중국정부의 정식 태도표명을 일관되게 요구해왔다"고 지적, 얼렁뚱땅 넘어가려는 중국의 태도에 불만을 표시했다. 베이징 주재 일본대사관 건물이 중국 외교부 산하 부동산관리회사에서 빌린 것이라는 점을 들어 "자기 소유건물에 발생한 피해를 보수하는 건 당연한 것 아니냐"며 중국은 대사관 건물피해를 원상복구해 주더라도 일본이 요구하는 배상에 일절 응하지 않았다고 주장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실제로 중국은 일본대사관 건물의 피해는 무료로 원상복구해 주겠다고 제의했으나 일본 정부 소유인 대사관저와 상하이 총영사관 건물 등에 대해서는 아직 원상복구 제의를 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19일 공관과 은행 등 일본내 중국 관련 시설 25곳에 투석 등 공격행위가 있었다며 "사과와 배상, 범죄자 엄벌, 유사행위 재발방지"를 강력히 요구했다. 이에 대해 일본 외무성에서는 "자기들은 안하면서 누구한테 하는 소리냐"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고이즈미 총리는 일본내 중국 관련 시설에 대한 공격에 대해 "그래서는 안된다. 반일감정이 표출될 때야 말로 우호관계를 중시하겠다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도쿄=연합뉴스) 이해영 특파원 lh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