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추진 중인 행정구역 개편 계획은 토지 투자자들에게 큰 기회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음지에서 양지로 변하는 지역이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다만 행정구역 개편의 효과는 중장기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변화는 곧 기회 여야의 행정구역 개편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전국을 특별시와 인구 50만~1백만명 이하 광역시 60~70여개로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도 특별시,광역시,도를 폐지하는 대신 평균 2~5개의 인근 시·군을 통폐합해 인구 1백만명 규모의 70여개 시·군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처럼 여야가 모두 행정구역 개편에 공감하고 있어 현재로선 어떤 식으로든 행정구역이 재편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렇게 되면 청주 진주 원주 춘천처럼 인구 30만~60만명 규모의 도시는 주변과 통합돼 인구 1백만 전후의 광역시급으로 탈바꿈한다. 도시계획도 당연히 새롭게 수립되고 지역 교통망도 재구축된다. 이런 변화는 결과적으로 땅값의 재편을 불러오게 된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재테크팀장은 "도시의 중심 이동이 이뤄지면서 새로운 개발수요가 많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처럼 국토의 변화는 토지 투자자들에게 늘 새로운 기회를 준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효과는 장기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JMK플래닝 진명기 사장은 "행정구역이 개편되더라도 도시계획을 다시 짜고 그에 맞게 실행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며 "토지 투자자들은 행정구역 개편을 염두에 두되 급하게 서두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음지에서 양지로 변하는 곳 찾아라 토지 전문가들은 특히 인구 50만명 전후의 도시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 중소도시는 인구 규모가 광역시급인 1백만명에 미치지 못해 성장에 한계가 있었던 지역이다. 주변지역과 같은 행정단위로 묶이면 규모의 경제효과가 나타나면서 도시의 발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동안 교통여건이 나쁘거나 낙후된 지역들도 인근의 개발된 지역과 묶임으로써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 땅사랑 이병택 사장은 "기반시설이 좋아지면서 음지에서 양지로 변하는 곳이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금 현재 음지로 평가되는 땅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