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만 네티즌 잡아라" .. 포털업계 메신저 전쟁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벤처기업 직원인 박성일씨(30)는 사무실에서 전화를 거의 쓰지 않는다. 만능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메신저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친구와 대화할 때도,거래처 사람과 연락할 때도 메신저를 쓴다. 사무실 밖에서는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한다.
메신저 하나면 유선전화도 휴대폰도 e메일도 필요 없다. 메신저를 쓰면서 휴대폰 요금이 절반으로 줄었다.
박씨처럼 메신저의 마력에 빠진 '메신저 마니아'들이 급속히 늘고 있다. 20대,30대 젊은이들은 대부분 메신저를 한 두 개씩 쓰고 있다. 네이트온 MSN메신저 버디버디 타키 터치 등 5대 메신저의 사용자수를 더하면 2천2백만명이나 된다.
여기에 야후 드림위즈 다모임을 비롯해 각 증권사 메신저 서비스까지 더하면 3천만명이 훨씬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메신저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포털들의 '메신저 싸움'에 불이 붙었다. MSN메신저가 독주해온 시장에 네이트온이 등장해 선두를 다투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과 네이버는 새로운 개념의 메신저를 출시했고 야후 다모임 버디버디 등도 사용자 취향에 맞춰 메신저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메신저의 기능도 다양해졌다. 대화만 가능했던 메신저에 게임 음악 검색 커뮤니티 등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미니 포털’로 바뀌고 있다.
경쟁사가 새 서비스를 내놓으면 곧바로 비슷한 서비스를 내놓는 등‘따라하기’도 극심하다.
가히 ‘메신저 전쟁’이라고 할 만하다.
포털을 운영하고 있는 MSN은 메신저가 ‘포스트포털’로 키우는 전략을 쓰고있다.
메신저에서 포털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다.
이런 취지에서 최근에는 화상대화, 친구등록 등의 기능이 강화된 7.0 버전을 새로 내놓았다.
네이트온은 ‘싸이월드’의 미니홈피와 연계하는 전략으로 메신저 시장에서 단숨에 MSN을 따라잡고 선두권으로 부상했다.
앞으로는 모바일 메신저 기능을 강화해 선두를 굳힐 계획이다.
네이버는 최근 ‘검색 메신저’를 내놓고 시험 서비스를 하고 있다.
강점인‘검색’을 앞세운 메신저 서비스다.
'터치'란 이름의 메신저 서비스를 하고 있는 다음은 지난달 인터넷전화 기능을 추가한 '스카이프 메신저'를 새로 내놓았다.
다모임과 버디버디는 메신저에 아기자기하고 깜찍한 기능을 많이 덧붙였다.
두 메신저의 주 사용자인 초.중학생 등 10대의 취향에 맞춤으로써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이밖에 드림위즈는 친구를 2천명까지 등록할 수 있도록 메신저 '지니'의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