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신흥제약 강국 급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도가 신흥 제약 강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동안 '불법복제'로 기술력을 쌓아 온 인도의 제약회사들은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선진국 제약업체들을 위협하고 있다.
비즈니스위크 최근호는 "특허권 보호를 강화하는 인도 정부의 법률 제정을 계기로 인도의 생명공학 관련 연구개발(R&D)이 한층 활발해질 것"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복제 천국에서 생명공학 허브로
인도에는 약 1만여개에 달하는 중소형 제약회사들이 있다.
이들은 지난 30여년간 화이자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노바티스 등 다국적 제약회사들과 하청(아웃소싱)계약을 맺고 AIDS 치료제와 백신 등 다양한 약품을 생산해 왔다.
이 과정에서 습득한 노하우는 불법복제 약품을 만드는 데 활용됐다.
그러나 '모방'에 치우쳤던 인도 제약회사들이 달라지고 있다.
지난 3월말부터 시행되고 있는 특허권 보호 법률에 따라 더 이상 불법복제를 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도 제약업계에서는 차제에 신약을 개발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 '대박'을 터뜨려보자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10년전에는 전무했던 인도 제약회사들의 특허권 신청 건수가 지난한해에만 8백55건에 달했을 정도다.
시프라 랑박시 닥터레디스 등 인도의 '제약 3총사'업체들은 AIDS 치료제 등에 대한 특허권 신청까지 준비중이다.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
머크 브리스톨마이어 노바티스 몬산토 등 세계 굴지의 다국적 제약회사와 생명공학 R&D센터가 50여개나 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공인 생산시설도 75개로 미국 다음으로 많다.
◆막강한 가격 경쟁력
인도가 생명공학 허브로 급성장하고 있는데 가장 큰 원동력은 해마다 3천명 이상씩 배출되는 생명공학 박사급 연구인력과 저렴한 인건비다.
유럽계 투자은행 크레디리요네(CLSA)에 따르면 인도에서는 임금을 미국이나 유럽의 10% 정도만 지급해도 손쉽게 박사급 연구원을 고용할 수 있다.
덕분에 인도의 신약개발비는 선진국보다 평균 40%가 덜 든다.
이같은 가격 경쟁력과 인프라를 배경으로 인도 제약회사들은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컨설팅업체 글로벌 인사이트에 따르면 인도 제약산업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10% 이상씩 성장해 지금은 연 90억달러 규모로 커졌다.
오는 2010년께에는 2백50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4%인 인도 제약회사들의 세계 시장점유율도 오는 2007년엔 33%로 8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영석 기자 yoo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