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올해 1·4분기중 은행의 대출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3.1%로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았다고 밝혔다. 경기가 살아나려면 우선 기업과 가계의 자금수요가 늘어나야 하는데 실제는 거꾸로 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같은 기간 본원통화 증가율이 1.5%에 불과하고, 요구불예금 회전율도 사상 최저 수준이라니 적어도 시중자금 흐름으로만 본다면 경기전망에 대한 불안감은 아직 가시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물론 시중자금의 편재와 양극화 현상이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그러나 상당한 시간이 지나도 완화될 기미조차 나타나지 않는 것 또한 결코 소홀히 보아넘길 일이 아님은 분명하다. 시중에 돈은 넘쳐나는데 자금을 필요로 하는 곳에는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그런 병폐사례의 하나다. 담보력이 취약하거나 자본력이 약한 중소기업들이 바로 그런 피해 당사자들이다. 금융회사들이 돈을 빌려주고 싶은 대기업들은 자금여유가 많아 돈을 빌릴 이유가 없다. 그러다보니 시중자금은 금융권 안에서 맴돌거나 부동산시장으로 흘러들어가 집값을 들썩거리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사실 해법은 간단하다. 기업들은 투자를 늘리고,부자들은 좀더 소비지출을 늘리면 그만이다. 소비지출이 아니더라도 부동자금이 증시에 머물게 된다면 기업경쟁력 향상과 경기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무엇보다 기업투자유인을 확충하는게 중요하다. 또한 금융회사들의 자금운용전략도 재검토해 보아야 한다. 수익성 높은 소비금융 위주의 대출전략이나 위험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소기업에 대한 기피 현상 등도 시정되어야 한다. 고유가 원화강세 등 경제여건은 아직도 불안하기만 하다. 여기에 자금의 동맥경화현상이 계속된다면 경기회복은 요원한 과제일 수밖에 없다. 어떤 식으로든 돈을 돌게 하는 것이 급선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