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층(10~15층) 아파트의 초고층 재건축사업과 관련,설계회사 및 시공사의 임원을 전격 소환,조사키로 결정해 파장이 예상된다. 2일 서종대 건설교통부 주택국장은 "서울 압구정동 현대아파트의 초고층 재건축단지를 설계한 무영건축과 이를 의뢰한 건설업체 H사 관련자를 소환,조사할 계획"이라며 "건교부가 강남아파트의 초고층 재건축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이후에 설계를 진행했다면 이는 명백한 시장교란 행위에 해당된다"고 말했다. 압구동정 현대아파트 조합추진위는 압구정 및 청담동 8개 단지(1~7차,10차)를 묶어 최고 60층짜리 초고층 아파트를 짓는다는 내용의 재건축 개발계획을 마련했었다. 건교부 관계자는 "강남권 중층단지의 재건축을 부추긴 혐의가 있는 대형 건설사 및 설계업체를 대상으로 이번주부터 집중 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라며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는 첫번째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H건설사 재건축?재개발담당 관계자는 "30여년 전 현대아파트를 시공한 회사로서 주민들의 요청으로 지난 2003년 4월 설계회사와 설명회를 한차례 가진 적이 있다"면서 "불법행위가 전혀 없었던 만큼 소환에 응해서 사실여부를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같은 조사와 관련,부동산업계에서는 집값 안정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주장과 공권력 남용으로 인해 시장이 더욱 왜곡될 것이란 우려가 엇갈리게 나오고 있다. 김성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동안 강남권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집값 불안을 야기했던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며 "정부의 조치가 1회성 이벤트에 그쳐선 안되고 상시적으로 일관되게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