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 50% 늘려준다고 한다는 얘기 못들었습니까.벌써 매물 다 들어갔어요" 지난달 말 저밀도 개포 주공 아파트 1-4단지 인근 중개업소엔 개포 저밀도 지구 용적률을 2백30%까지 올려줄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았다. 건교부 주택국장이 한 라디오 방송에서 '강남권 저밀도 재건축을 활성화 하겠다'고 밝힌 직후였다. 개포 저밀도 단지의 경우 현재 구청의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에는 용적률이 1백77%로 돼 있다. 이대로라면 재건축 수익이 크게 약화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건교부 관계자 발언직후 개포동 일대에는 '정부가 이제야 시장의 흐름을 제대로 짚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매물 호가가 하루 이틀 새 1천만-2천만원까지 상승하는 이상반응이 연출됐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추가 상승 기대로 매물도 빠르게 사라졌다. 하지만 건교부에선 현재 용적률의 상향검토를 전혀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개포동의 반응은 어떻게 된 걸까. 일부 전문가들이 정부발언 여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개포지구 용적률이 50% 상향 된다면?'등의 예를 든 것이 삽시간에 "상향 된다더라"로 와전된 것으로 주택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이 와중에 강남구청은 지난달 29일 용적률 1백77%로 규정된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에 대한 주민공람 공고를 마감했다. 따라서 이 기간동안 혹시하는 기대감에 용적률 확대를 요청하는 이의신청을 낸 주민만도 1천여명에 달했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주택시장 안정'을 부동산정책의 최대 목표로 내세운 현 정부가 재건축 관련 규제를 완화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결국 최근의 개포지구내 움직임은 정부인사의 '불분명한 발언'과 시장의 '강력한 기대'이 어우러져 생긴 헤프닝이었다. 송주희 기자 y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