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중에 色慾 어떻게 할까요? 수행지침서 출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참선 수행 중에 색욕(色慾)이 일어나면 어떻게 해야 할까.
화두를 들다가 안되면 주문을 외우거나 화두를 염송해도 될까.
졸음이 밀려오면 어떻게 극복할까.
평생 참선 수행에 매진해온 선사들이 이런 문제들에 대해 속시원하게 대답한 '조계종 수행의 길-간화선(看話禪)'(조계종교육원)이 나왔다.
지난 2002년 11월 각화사 선덕 고우 스님 등 선원장급 스님 15명으로 편찬추진위원회를 구성,10여 차례의 회의 끝에 출간한 조계종 최초의 간화선 수행 지침서다.
이 책은 달마로부터 시작되는 조사선의 흐름과 12세기에 대두된 간화선의 실체와 특징,실제로 화두를 받아 수행하는 방법,수행 중 겪게 되는 잠과 들뜸 몽롱함 상기병 색욕 등 여러 가지 장애물을 극복하는 방법 등 간화선 수행의 전 과정을 실제 체험을 중심으로 세세히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색욕이 일어날 때는 그 대상이 흙과 물,불과 바람으로 변해 흩어지는 모습을 떠올려 보라고 조언한다.
색욕이 허망한 것임을 알아차리라는 것.이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색욕이 일어나는 바로 그 자리에서 화두를 드는 것"이라고 지침서는 안내한다.
졸음이 올 때는 어금니를 악물고 두 눈을 또렷이 뜬 채 심호흡을 깊고 느리게 반복하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허리를 곧게 편 채 코 앞에 천길 절벽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졸음을 쫓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른바 말길과 생각의 길이 끊어진 세계를 말로 표현한다는 것이 쉬울 수는 없다.
지침서 편찬에 참여한 충주 석종사 선원장 혜국 스님은 "설명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것(간화선)을 설명해야 하는 것이 간화선의 위기"라며 "이런 설명(지침서)도 옛 선사가 보면 몽둥잇감"이라고 말했다.
4백37쪽,1만5천원.
한편 조계종은 홈페이지(www.buddhism.or.kr)에 '간화선 정보센터'를 개설해 선 수행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또 영어 중국어 일어로 간화선을 소개하는 국제 사이트도 올해 안에 마련키로 했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