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구 가운데 18세이하 청소년이 4명중 1명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통계청 발표는 충격적이다. 우리 사회의 고령화 추세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지,또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얼마나 시급한지 한 눈에 드러내주는 결과에 다름아니다. 경제 발전과 더불어 평균 수명이 늘고 고령화 사회로 접어드는 것은 사실 자연스런 현상이긴 하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불과 40년만에 청소년 인구 비율이 절반이하로 추락한 사실이 보여주듯 그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이미 65세이상 노년비율은 지난 2002년 7.9%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 기준인 7%선을 크게 웃돌고 있을 뿐아니라 2019년엔 14%를 넘어 고령사회로,2026년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란게 일반적 전망이다. 게다가 출산율마저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심각성이 더욱 더하다. 현 수준의 인구규모를 유지하기 위해선 여성 1인당 2.1명은 출산해야 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1.19명에 불과해 인구감소로 고민하고 있는 선진국들의 평균 1.6명에도 훨씬 미치지 못하는 형편이다. 각종 복지 지원을 받아야 할 노년층은 날로 증가하는데 일하고 세금낼 사람은 계속 줄어든다면 우리 사회의 미래가 어찌될지는 불을 보듯 뻔하다. 보다 강력하고 체계적인 형태의 고령화 및 저출산 대책이 요구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가 조만간 내놓을 예정인 종합대책에는 출산에 대한 지원은 물론 자녀양육비용 절감,다자녀(多子女) 가정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공공 보육시설 확충,결혼 지원 프로그램 등 결혼기피 현상을 시정하고 출산을 장려할 수 있는 방안이 광범위하게 망라돼야 할 것이다. 기업들도 출산율제고는 국가적 과제라는 점에서 적극 협력할 필요가 있다. 물론 가뜩이나 어려운 형편에 복지 혜택을 늘리는 것이 부담스럽긴 하겠지만 출산후에도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실질적 보장을 해주고 직장내 보육시설도 충분히 확보해 일하는 여성들의 부담을 최대한 덜어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