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을 둘러싼 북-미간 날카로운 신경전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내 일부 강경파의 '제한적 선제공격론'까지 흘러나오고 있는 가운데 북한 역시 기존의 강경 입장에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을 포함한 관련국의 외교적 중재노력도 급피치를 올리고 있다. 일단 예측불허 양상으로 전개되던 핵실험 준비설이 상당히 '톤 다운'되고 있다. 마치무라 노부타카 일본 외상은 7일 북한 핵실험 준비설과 관련,"여러 소문이 오가고 있지만 그와 관련한 확실한 정보는 없다"며 가능성을 낮췄다. 워싱턴포스트는 한 발 더 나아가 미 관리들의 말을 인용,"북한이 길주 인근에 핵실험 관람대를 건설 중이라는 정보는 신빙성이 없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진위 여부를 떠나 북한의 '노이즈(Noise) 전략'이 일정 정도 먹혀들고 있다는 분석을 내리고 있다. 북한의 핵실험 준비설로 야기된 파문이 미국은 물론 국제사회에서 북핵 문제를 최대 현안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는 북한이 고의적으로 핵실험을 위한 준비과정을 미국 정찰위성에 노출시킴으로써 이같은 반응을 유도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북한이 조총련 기관지인 조선신보를 통해 "핵보유국으로서 행동계획을 세워놓고 있다"고 밝힌 것도 핵보유 기정사실화 전략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도 이 점을 의식,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에 대한 직접 언급보다는 사전 경고성 발언을 이어갔다. 스콧 맥클렐런 미 백악관 대변인은 7일 "미국은 (북핵에 대해) '강한' 억지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톰 케이시 미 국무부 언론국장도 6일 "북한 핵프로그램에 대해 공개할 새로운 평가는 없다"며 핵실험의 실현 가능성을 낮췄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