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윤재 서울시 행정2부시장 수뢰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 서울시가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입장을 밝힌 것은 한마디로 이명박 시장의 국면 `정면돌파'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김병일 대변인은 이날 발표 첫 머리부터 "양 부시장의 혐의 내용은 본인이 계속 부인하고 있고 서울시도 정황상 수뢰하지 않았을 것으로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양 부시장이 체포되던 지난 6일 이 시장이 "만약 돈을 받았다면 고위 공무원으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고 엄벌에 처해져야 할 것"이라고 밝힌 것과는 180도 달라진 태도다. 김 대변인은 검찰 수사 내용에 대해 조목조목 비판한데 그치지 않고 이 시장이 김일주 전 한나라당 성남중원지구당 위원장(구속)과 미래로RED 대표 길모씨를 각각 면담한 사실을 시인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시는 발표문에서 김씨와의 만남은 김씨가 막무가내로 시장실을 찾아와 어쩔 수 없이 만났다는 것 그리고 그 만남에서 청계천 주변 재개발이나 고도제한 완화 등은 전혀 거론되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길씨와의 만남도 모 방송사 기자의 주선으로 이뤄졌을 뿐 면담 시간도 짧고 면담 내용 자체도 기억나지 않는다고 길씨와의 연루설을 전면 부인했다. 이 시장과 김씨, 길씨 등이 만난 사실이 언론에 보도될 경우 의혹을 증폭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이를 먼저 시인한 것은 `면담 내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니 조사할테면 해보라'는 의도를 내비치는 것이다. 특히 시측은 "길모씨의 직업, 과거행적, 주변 인물 평가 등을 종합해 볼 때 그 진술의 신빙성이 매우 의심스러운데도 유독 검찰만이 그 신빙성을 인정하고 수사대상을 무한정 확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양 부시장 등의 구속영장에 신빙성이 부족한 일방적 진술을 토대로 서울시장이 마치 이 사건에 관련된 것처럼 명시하고 언론에 보도되게 함으로써 서울시장을 표적으로 이 사건을 작위적으로 확대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며 `표적수사론'을 제기했다. 나아가 "차관급 고위 공무원인 양 부시장을 체포하면서 기관장인 서울시장에게 통보조차 하지 않은 것은 이 시장에 대한 모독이자 서울시민에 대한 홀대이며 현 서울시장이 여당이 아닌 야당 출신이라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가 이처럼 공격적으로 나온 데는 검찰수사에 무대응으로 일관할 경우 수사결과와 상관없이 이 시장의 정치행보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때문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ssahn@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