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부의 한 군사기지에서는 지난주 200명의 일본 병사들이 이라크로 떠나기 전 가족들과 작별인사를 나눴다. 하지만 이런 장면은 이제 마지막이 될지도 모른다. 일본이 이라크에 자위대 병력을 파견한 지 1년반만에 이라크 철군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지금 이라크 철군 문제를 놓고 어려운 딜레마에 빠져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는 자위대의 이라크 주둔을 강력 지지하고 있지만 여론은 계속 양분돼 있다. 여기에 미국은 일본 자위대에게 해외에서 더 공격적인 역할을 해 줄 것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일본 관리들은 지난 8일 이라크에서 일본인이 피랍된 사건이 이라크 주둔군 철수에 별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오노 요시노리(大野功統) 방위청 장관은 10일 "현재로서는 피랍사건은 사마와의 자위대 활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면서 방위청이 현지 병사들의 안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본의 입장은 빠른 철수 쪽으로 기우는 모습이다. 오노 장관은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유엔 주도 이라크내 다국적군 활동 시한 만료시점인 올해 말을 철수 시점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우리는 자위대가 하고 있는 일을 가능한 한 빨리 이라크인들에게 넘기고 싶다"면서 그러나 철수의 적절성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황을 충분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은 빠르면 9월에 철수 계획을 다른 파병국들에게 통보할 수 있으며 철군 후에는 재정적 지원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라크 파병국 가운데 이탈리아는 9월까지는 철수를 시작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우크라이나와 네덜란드, 스페인은 이미 철군을 했거나 철군을 시작했다. 또 네 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견했던 폴란드도 유엔 주도 다국적군 활동 시한이 갱신되지 않을 경우 올해 말 주요 병력 철수를 계획하고 있다. (도쿄 AP=연합뉴스) zitro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