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한국무역협회 등 대기업과 경제단체 등이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원을 설립할 수 있도록 설립 요건을 대폭 완화해 주는 방안이 검토된다. 또 의ㆍ치의학 및 법학뿐 아니라 경영(MBA)ㆍ금융ㆍ물류분야도 이르면 2006학년도부터 전문대학원 체제로 전환된다. 정부는 19일 노무현 대통령이 주재한 인적자원개발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국가 인적자원 개발 추진체제 개편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회의에서 의ㆍ치의학 및 법학전문대학원 체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경영ㆍ금융ㆍ물류분야도 2006학년도부터 학부 중심에서 전문대학원 체제로의 전환을 권장하기로 했다. 특히 경제단체나 대기업이 관련 전문인력을 키우기 위한 전문대학원을 세울 수 있도록 교원,교사(건물),교지(땅),수익용 기본재산 등의 설립 요건을 대폭 완화하는 특례를 주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외국의 경영 전문대학원이 국내에 들어올 수 있도록 여건도 함께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 이종갑 인적자원관리국장은 "그동안 삼성그룹과 한국무역협회 통합증권거래소 등이 전문대학원 설립을 검토해 왔으나 교원과 건물 땅 등 요건이 까다로워 설립을 주저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올해 말까지 대통령령을 고쳐 설립 요건을 완화함으로써 이르면 2006학년도부터 이들의 전문대학원 설립을 허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인적자원위원회를 출범시키고 교육인적자원부에 차관급이 본부장인 인적자원혁신본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학부모들이 자녀의 소질이나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명문대를 나와야 한다는 생각으로 소수 일류대학에 자녀들을 집중적으로 보내려는 이른바 교육 가수요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며 "대학 특성화를 통해 이 문제를 해소하거나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