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교수팀, 가상세포용 컴퓨터 언어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가 만든 컴퓨터 언어로 최첨단 가상세포를 개발한다.'
살아있는 세포의 작용을 컴퓨터상에서 실제에 가깝게 보여주는 '가상세포'를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표준언어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는 가상세포를 비롯 각종 생물학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국제 컴퓨터 표준어(MFAML)를 개발,일반에 공개한다고 24일 밝혔다.
지금까지 국내는 물론 전세계 생명과학 기업이나 연구기관들은 각종 생물학 정보 데이터를 각기 다른 독자적인 컴퓨터 언어로 저장해 왔으며 다양한 분석 프로그램들 역시 상이한 언어로 만들어 왔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컴퓨터 언어로 된 데이터를 상호 활용하고 각종 분석 프로그램 간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국제 표준언어의 개발이 시급했다.
이 교수팀은 확장성표기언어(XML)를 응용,컴퓨터상에서의 가상세포 실험과 분석 정보를 표준화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MFAML에 관한 정보는 홈페이지(mbel.kaist.ac.kr/mfaml)에서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