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세계화 흐름에 대응해 정부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가. 이런 문제에 대해 각국의 경험을 공유하고 새로운 대안과 전략을 모색할 목적으로 시작된 정부혁신 세계포럼의 제6차 대회가 어제 서울 코엑스 컨벤션홀에서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 등 141개국 고위 인사 5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나흘간 일정으로 개막됐다. 특히 이번 6차 포럼의 경우 유엔과 공동으로 주관토록 돼 있는 개최국이 바로 한국이고, 또 아시아에선 처음 열린다는 점에서 우리로서는 여러모로 그 의미가 깊다. 정부혁신은 이제 특정 국가만의 일이 아닌 세계 각국의 공통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정부혁신 세계포럼을 유엔이 나서서 개최국과 함께 주관하게 된 것도 그런 배경에서다. 정부혁신이 이렇게 세계적 이슈로 발전하게 된 이유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정부가 변하지 않고서는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실제로 정부혁신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경쟁하듯 전개돼 왔다. 특히 기업 등 민간부문에서의 빠른 변화와 역동성, 그리고 세계화의 흐름에 부합하는 정부의 변화가 요구됐고, 그것은 규제완화, 공기업 민영화, 작은 정부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여기에 정보기술(IT)의 급속한 발전으로 투명하고 효율적인 전자정부로의 변화도 가속화돼 왔다. 우리나라도 그런 흐름에서 예외일 수 없었다. 때문에 특정 정권의 차원을 넘어 지속적인 행정혁신을 추진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 덕분에 전자정부 구현 측면에서는 각국으로부터 세계적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가 됐다. 우리나라가 제6차 정부혁신 세계포럼의 개최지로 선정된 것도 그런 성과와 무관하지 않다. 정부가 이번 포럼을 우리의 정부혁신 성과를 널리 알릴 기회로 삼겠다고 하는 자신감도 여기서 비롯되고 있다. 제대로 홍보해 국가 이미지나 브랜드를 제고할 수 있다면 더할 수 없이 좋은 일이다. 그러나 정부혁신은 그 어느 나라도 완결했다고 말할 수 없을 만큼 아직 갈 길이 먼 것도 사실이다. 기업 등 민간부문이 정말 원하는 수준의 정부혁신에 대해서는 곳곳에 저항이 잔존해 있다. 때문에 큰 정부에 대한 유혹(誘惑)이 또 언제 되살아날지 모를 일이다. 이는 우리 스스로를 되돌아보아도 그렇다. 그런 점에서 한국에 대한 홍보도 물론 해야겠지만 각국의 생생한 정부혁신 경험으로부터 겸허하게 배우려는 자세 또한 절실히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