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산하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택시노련) 간부들의 비리에 이어 24일 이남순 전 한국노총 위원장까지 억대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긴급체포되면서 한국노총은 창립 이래 최대위기를 맡게 됐다. 한국노총도 59년 역사상 비리혐의로 위원장급이 체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할 정도다. 특히 검찰의 칼끝이 이 전 위원장을 비롯한 한국노총 전ㆍ현직 고위간부들을 본격적으로 겨눔에 따라 검찰수사가 한국노총 비리의혹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검찰,이 전 위원장 사법처리 확신=검찰에 따르면 이 전 위원장은 한국노총의 여의도 근로자복지센터 건립 과정에서 시공사인 벽산건설의 협력업체로부터 2억여원의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이씨는 이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벽산건설로부터 발전기금 명목으로 27억6000만원을 받은 혐의에 대해서도 정상적으로 회계처리해 문제될 게 없다고 밝혀왔다. 하지만 검찰은 이 전 위원장의 혐의를 밝히는 데 자신 있다는 입장이다. 앞서 지난 19일 벽산건설의 40여개 협력업체 중 4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 이 전 위원장의 혐의를 구체적으로 포착했기 때문이다. 검찰은 이씨에 대해 강도높은 조사를 벌인 뒤 25일 오후께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 지난 23일 권원표 전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을 벽산건설과 그 협력업체로부터 모두 2억4000여만원의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구속했다. 검찰은 구속된 최양규 택시노련 사무처장과 임남훈 경남본부장을 26일 중 기소하고 도피 중인 권오만 한국노총 사무총장에 대해서는 기소중지(지명수배)키로 했다. ○현 집행부로도 불똥 튀나=앞으로는 전직 수뇌부뿐만 아니라 현 집행부가 과연 어느 선까지 복지센터 비리에 연루됐는지가 수사의 초점으로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선 검찰이 건설업체 관계자들의 진술을 확보해 놓은데다 광범위한 계좌 추적을 진행하고 있어 또다른 간부들의 비리가 연이어 적발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검찰도 한국노총 스스로가 인정한 발전기금 28억원의 용처가 드러나면 현직 간부들의 횡령 및 유용 혐의가 드러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택시노련 위원장을 지낼 때 5억원의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보름 넘게 잠적 중인 권 사무총장이 검거되면 한국노총은 더욱 큰 폭풍에 휩싸일 전망이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