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핵프로그램에 대한 유엔 경제제재안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유럽연합(EU) 3개국과 이란이 25일 막판 핵협상을 갖는다. 영국, 프랑스, 독일 3개국 외무장관과 하비에르 솔라나 EU 외교정책대표는 이날 제네바에서 하산 로하니 이란 핵협상 대표와 만나 이란의 핵프로그램 중단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난항이 예상된다. 이란 핵협상단의 알리 아그하 모하마디는 "협상이 계속 어려움을 겪었고 복잡했기 때문에 전도가 그리 밝지 않다"며 "협상이 계속 이렇게 진행된다면 교착상태에 달할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EU 3개국과 이란은 EU의 경제 지원을 조건으로 이란의 우라늄 농축 중단을 놓고 수개월째 협상을 벌여왔으나 타결점을 찾지 못한 상태로 EU측은 이번 회담이 결렬될 경우 대(對) 이란 접근법을 `당근'에서 `채찍'으로 선회할 움직임이다. 유럽 3국은 이달초 이란이 우라늄 농축활동 재개를 선언하자 유엔 안보리에 회부, 경제제재를 가할 수도 있다고 압박하며 미국측 입장으로 선회하고 있다는 경고를 보내기도 했다. 이란에 대한 강경조치를 주장했던 미국과는 달리 그간 유럽 3국은 이란에 대한 유인책을 내놓으며 외교적 방법으로 대응해왔다. 유럽 3국은 이란이 제한된 범위내에서 핵프로그램을 운용할 경우 EU의 경제적ㆍ기술적 협력 외에도 이란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지원을 기대해도 좋을 것이라고 밝혀왔다. 그러나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조치는 이미 배럴당 50달러에 육박한 유가의 추가 인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한편 이번 핵협상을 앞두고 유럽 3국내에서도 입장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회담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는 이란이 우라늄 농축 관련 활동을 재개할 경우 내달 열릴 예정인 국제원자력기구(IAEA) 회의를 통해 이란을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개시한 상태다. 그러나 이란의 주요 교역상대국인 독일은 이란이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중단해야 한다는 기존 EU 입장을 지지하며 이란에 최후통첩을 내놓거나 농축활동 재개시 자동적으로 안보리에 회부하는 방안에 대해선 반대하고 있다. (제네바ㆍ유엔본부 APㆍ로이터=연합뉴스) joo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