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오는 6월10일 백악관에서 오찬을 겸한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한다. 대통령의 미국 방문목적을 분명히 하고 회담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다른 일정을 없앤 '1박3일'간의 짧은 실무방문 형식은 이례적인 것임에 틀림없다. 이는 어느 때보다 한반도 주변정세가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으로 양국 정상간의 만남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 이번 정상회담의 최우선 현안이 북핵(北核)이고,이를 계기로 북핵문제 해결의 중대한 고비를 맞게 되리라는 건 두말할 필요도 없다. 6자회담이 중단된지 거의 1년이 다 돼가는데다 더이상 회담재개를 미루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북측의 조속한 6자회담 복귀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대응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크다. 하지만 회담성과를 낙관하기만은 어려운 실정이고 보면 걱정스러운 점도 한두 가지가 아니다. 우리 측의 일관된 평화적ㆍ외교적 해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오히려 핵보유 선언,핵연료봉 인출 등 잇따른 도발로 상황을 악화시켜 왔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미국 등에서 대북 제재론(制裁論)까지 고개를 드는 등 분위기가 크게 나빠졌고, 우리의 6자회담내 입지마저 갈수록 좁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무엇보다 북한의 6자회담 복귀와 핵포기를 이끌어낼 수 있는 보다 분명한 해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핵문제에 대한 양국간 인식과 접근방법에서의 이견(異見)을 해소하고 공조체제를 더욱 다질 수 있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한반도 비핵화 원칙에서는 양국이 인식을 공유하고 있는 만큼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이 어려운 일만은 아니라고 본다. 이는 '동북아 균형자론'을 놓고 이상기류가 흐르는 조짐마저 보였던 양국간 동맹관계를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