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기능을 재는 초ㆍ중ㆍ고교생 체력검사가 건강을 측정하는 쪽으로 바뀌고 검사 결과에 따라 학생마다 다른 `맞춤형' 운동처방을 해준다. 교육인적자원부는 학생들의 신체활동이 줄면서 체력이 떨어지고 비만 학생이 증가하는 현상이 심각하다는 판단에 따라 생활체육을 활성화해 학생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내용을 담은 학교체육 혁신방안을 마련, 2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학생 체력검사는 그동안 순발력, 스피드, 민첩성 등 운동기능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나 앞으로 심폐지구력, 근력 및 근지구력, 유연성, 체지방조절능력 등 건강체력을 평가하기로 했다. 또 학생의 체력검사 결과에 따라 건강군, 비만군, 질환군 등으로 유형을 분류해 차등화된 맞춤형 운동처방을 학생ㆍ학부모에게 알려주고 이에 맞춰 스스로 운동할 수 있게 하는 한편 국가적인 운동처방 표준안도 제시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구체적인 체력검사 종목과 운동처방 내용 등을 정책연구 및 시범학교운영 등을 거쳐 확정한 뒤 2008년부터 초ㆍ중ㆍ고교에서 전면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교육기본법을 개정해 국가ㆍ지자체가 학생의 체력 증진과 체육활동 장려에 필요한 정책을 세워 시행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축구나 배구 등 운동경기 종목 위주의 교육과정도 학생들의 흥미와 신체발달 상황 등을 고려한 문화ㆍ생활체육중심으로 개편하기로 했다. 1교(校)-1기(技) 선정 및 1학생-1운동 익히기, 체육 동아리 활성화 등도 추진해 전교생이 참여하는 체육활동을 실시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엘리트 체육과 관련해서는 학교 운동부 선수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학기중 상시 합숙을 금지하고 전국 규모 대회 출전을 연간 3회 이내로 제한하며 그 실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해 어기는 학교가 없도록 하기로 했다. 한편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체육이 선택과목으로 바뀌면서 고 2~3의 경우 남학생 21%, 여학생 31%가 체육수업을 받고 있지 않으며 생활체육 참여율도 20~30% 수준으로 미국(69%), 독일(78%) 등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