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기능을 상실한 재래시장은 퇴출시키는 등 전국 1700여개 재래시장을 전면 구조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재래시장 중 생존 가능한 시장은 시설을 현대화하고 지역의 실정에 맞게 재건축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전국 모든 재래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동상품권을 오는 9월 발행하기로 했다. 재정경제부와 중소기업청은 1일 이런 내용을 담은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을 마련,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활성화 방안에 따라 정부는 올 3·4분기 중 1700여개 재래시장에 대한 심층 실태 조사를 벌여 재래시장을 △경쟁력확보시장 △상권회복가능시장 △기능상실·쇠퇴시장으로 구분키로 했다. 이 중 기능을 상실했거나 기능이 줄고 있는 재래시장은 용도 전환과 상권 축소 등의 방식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된다. 정부 관계자는 "기능상실·쇠퇴시장이 어느 정도인지는 실태 조사가 끝나야 정확히 알 수 있으며 현 단계에선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다른 곳으로 떠나는 상인에 대해서는 점포 전세금을 융자해 주는 방안을 강구키로 했다. 상권회복가능시장은 해당 시장뿐만 아니라 인접 상가를 동시에 정비해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경쟁력을 이미 갖춘 시장의 경우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 등 대형시장은 글로벌상권으로 육성하고,지역 중심 시장은 상권 특성에 따라 종합시장 전문시장으로 바뀐다. 지방 5일장은 주말관광시장 등으로의 전환이 추진된다. 정부는 시설 현대화를 위해 진입도로 주차장 등을 정비할 때 국·공유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내 관련 규정을 고치고,임대료를 깎아줄 방침이다. 시설 현대화 사업에 투입될 정부 예산은 올해 1068억원으로 책정됐다.또 재래시장 주변의 공영주차장을 넓히고 주차비도 감면해 경쟁력 있는 재래시장 이용을 권장키로 했다. 정부는 이와 별도로 전국의 재래시장이 모두 참여하는 전국시장상인연합회를 구성해 재래시장박람회를 추진하며 전국의 모든 재래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동상품권을 오는 9월에 발행키로 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