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 분위기가 곳곳으로 확산되면서 시스템 정착을 위한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과 30대그룹 구조조정본부장이 만남을 가졌다고 합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지 취재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연사숙기자? [앵커1] 30대그룹의 구조조정본부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에 어떤 역할을? [기자] IMF이후 도입된 구조조정본부는 각 그룹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곳입니다. 정부는 바로 각 그룹의 상황실이라고 할 수 있는 구조본을 이번 대중소기업 상생협력방안의 헤드쿼터. 사령관의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고..각 구조본부장도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히며 오늘의 만남이 이뤄진 것입니다.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은 오늘 30대 구조조정본부장들과 만나 “앞으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위한 헤드쿼터로서 역할을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앵커2] 그렇다면 이들이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기자] (S-30대 구조본, 시스템구축 주력) 우선 구조본에서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을 위한 그룹차원의 시스템 구축에 적극 나서기로 했습니다. 이번 대중소기업 상생방안의 가장 핵심은 성과공유제입니다. (CG-성과공유제란?) 성과공유제란 대기업이 자사에 납품하는 중소기업이 기존에 부품하나를 개당 1만원에 납품했는데, 원가절감이나 기술개발로 납품단가를 6천원으로 낮췄다면 절감한 4천원만큼을 미리 약속한 배분대로 나누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50:50으로 나눠갖겠다고 했다면 낮아진 원가 4천원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2천원씩 나눠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공유제는 시장경제체제하에서 정부가 억지로 강요할 수 없습니다. (S-정부, 구조본 통해 대중소 협력 점검) 따라서 이러한 분위기 확산을 위해 정부는 30대 구조본을 그 중심에 두고 시스템 구축과 함께 잘 이뤄지고 있는지 점검하겠다는 것이구요, 구조조정본부장들도 분기에 한번씩 회의를 열어 시스템 변화내용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앵커3] 성과공유제를 도입할 경우 효과는 어떤게 있죠? [기자]이미 1959년에 성과공유제를 도입한 도요타는 완성차를 만드는 도요타와 납품업체인 덴소가 모두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공했습니다. 일본의 부품업체들이 세계적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 바로 이러한 바탕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CG-성과공유제 도입효과) 성과공유제는 두가지 유형으로 볼 수 있는데. 이 두가지 모두 납품하는 중소기업의 혁신을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큰 도움을 줍니다. 또 대기업 입장에서도 공급사의 전략적 관리를 통해 보다 좋은 기술과 조건으로 부품회사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앵커4]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그동안 도입하지 못했던 이유는? [기자] 우선 우리나라는 한정된 자원을 갖고 조립산업에서 성장을 시작했습니다. (CG-대-중소기업 양극화 원인) 이후 조립 대기업에 집중했고, 대부분의 기업들이 매출에만 신경을 쓰며 중소기업의 기술이나 경쟁력 등에는 신경쓰지 않고 납품단가 인하 등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했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 중소기업이 주류를 이루는 부품 소재산업이 낙후됐고, 결과적으로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기업들도 부품조달에 어려움을, 국가적으로도 양극화 현상을 낳은 주된 이유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5] 성과공유제 중요성을 알겠지만 실제 실무진까지 납품관행을 바꾸는 일은 쉽지 않을텐데요? [기자] 그렇다. 처음 이 성과공유제 도입이 발표됐을때 대기업에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대기업 입장에서는 자금부담이나 정보유출 위험 등이 제기될 수 있고, 중소기업 입장에서도 혁신을 강요받기 때문에 자율성 침해 등 여러가지 넘어야 할 산이 있습니다. 때문에 공급망을 주도하고 있는 대기업. 특히 30대 구조조정본부에서 나서 각 그룹별 특성과 전략에 맞춰 상생방안을 모색하기로 한 것입니다. [앵커3] 정부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죠? [기자] 앞서 말씀드린 풀어야할 문제점이 많습니다. 때문에 정부는 강요할 수 없지만 성과공유제 도입이 정착되도록 우선 분위기 조성.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CG-대중소 상생협력 현황) 지난 5월 16일 노무현대통령이 대기업 총수 등과 회의를 갖으며 시작됐는데요. 이후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은 이번주 우리산업의 중추라고 할 수 있는 조선, 철강업계. 디지털전자업계 CEO들과 잇달아 만났고, 또 오늘 만난 구조조정본부부장들이 원활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는지 조만간 일제 점검도 벌일 예정입니다. 생산성본부에서는 ‘성과공유제 확산본부’를 이달중에 설치하고 성과공유표준계약서 등 인프라작업을 본격 추진하는 등 이러한 내용을 담은 종합후속대책을 다음달 중 확정할 예정입니다. 또 연말에는 다시 대통령 주재로 대기업 총수 등과 함께 연간 성과를 점검할 것으로 보입니다. (S-협력우수기업, 세제 등 인센티브) 이와함께 정부에서 실질적인 도움은 정책적 인센티브라고 할 수 있는데요. 산자부는 산업연구원에 협력평가센터를 설치해 협력우수기업을 선발하고. 이들에 대해서는 내년부터 범부처차원에서 세제와 금융, 조달 등 정책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시스템 구축을 통해 부품소재기업을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상생협력의 성공여부는 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양극화 문제 해결이라는 우리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풀어나가는 핵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연사숙기자 sa-sook@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