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종일 영업을 둘러싸고 대형할인점들 사이에서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정부와 열린우리당의 6일 당정협의 테이블에서 대형할인점의 종일 영업 확대가 가져올 중소 유통업체 상권 침해 등의 각종 문제점이 제기되고, 이에 대한 규제 필요성까지도 일부 거론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형할인점들은 당정이 추가 논의를 거쳐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을 도출하기 앞서 사전 여론 조성 차원에서 제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최근 찬반 논란 끝에 종일 영업을 확대하지 않기로 한 신세계 이마트 관계자는 7일 "유통업계에서 가장 힘이 세다고 할 수 있는 대형할인점이 24시간 영업을 확대할 경우 동네슈퍼, 편의점 등과의 상생은 어렵다"면서 "당정의 규제 필요성 제기는 이유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종일 영업을 확대하면 할인점들끼리는 물론 여타 유통업종 간에도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면서 "실제 우리의 자체 분석에 의하면 종일 영업을 해도 매출은 4% 밖에 안늘지만 관리는 20% 이상 늘어난다"고 주장했다. 이마트는 현재 전국 71개 점포 가운데 부산 사상, 대구 성서, 대전 둔산, 대구 칠성점 등 4곳에서만 24시간 영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 점포 33곳 중 30곳에서 종일 영업을 하고 있는 삼성테스코 홈플러스 관계자는 "중소 상인 보호 등은 또다른 차원의 정책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고객들의 편의를 고려해 선택 폭을 넓혀주기 위해 이뤄지는 24시간 영업을 일괄 규제한다는 것은 시장 원리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2일 자사 점포 중 처음으로 구로점에서 종일 영업에 들어간 롯데마트 관계자도 "중소 유통업체가 할인점의 24시간 영업으로 힘들어진다고 하는 것은 논리비약"이라며 "야간 고용 창출, 고객 편의 제공 등 긍정적 요소가 있으므로 종일 영업을 하는 것인 만큼 이를 정부가 규제한다는 것은 시장경제에 위배된다"고 가세했다. 이 관계자는 "고객 수요가 많고 인구가 밀집된 지역 등 제한적 상황에 맞춰 24시간 영업을 하는 것이지, `시골 지역' 점포에까지 종일 영업을 적용하는 게 아니잖느냐"면서 "24시간 영업에 고객 반응이 좋다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전국 16개 점포 중 12곳에서 24시간 운영하고 있는 월마트 측도 "지켜봐야하겠지만 고객 편의가 우선 아니냐"며 당정협의 방향에 촉각을 세우고 있고, 24시간 영업 점포가 없는 까르푸는 "당분간 종일 영업 계획이 없다"며 "우리는 외국기업이므로 정부가 방향을 정해주면 따를 수 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황윤정 기자 uni@yna.co.kr yunzhe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