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6자 회담 복귀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북한이 미국에 조건 없는 6자 회담 복귀 입장을 통보한 데 이어 중국 당국자도 수주일 내에 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낙관론을 펼치고 있다. 지난달 13일 북·미접촉 이후 3주 만에 이뤄진 만남에서 양국이 회담 재개를 염두에 두고 '속내'를 주고 받았고 북한이 6자 회담에 복귀할 수 있다는 신호를 분명히 보내면서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 행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성에 대한 북한의 의구심이 어느 정도 해소된 만큼 이제 '택일(擇日)'만 남은 게 아니냐는 희망섞인 관측이 나오고 있다. 오는 23일로 6자 회담이 표류한 지 꼭 1년이 된다는 점도 북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외교부 고위관계자는 "북한이 회담장으로 들어서기 위해 한쪽 발을 들어올린 상태"라며 북한의 태도 변화를 설명했다. 북한의 최종 결심을 이끌어내기 위한 끝내기 수순이자 마지막 분수령은 한·미 정상회담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북한으로선 한·미 정상회담 전에 복귀의사를 밝히고 정상회담 이후 재개일자를 통보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프로세스"라고 얘기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대북 제재론이 부각되는 것을 막고 구체적인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모양새를 갖춰나갈 수 있다는 의미다. 정부 안팎에서도 이같은 시나리오를 부인하지 않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최종 결심을 밝힐 것이라는 관측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주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염두에 둔 대북 메시지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의 북·미 간 접촉을 통해 회담 복귀의 명분과 실리를 축적한 만큼 한·미 정상회담을 전환점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한은 지난달 31일 워싱턴에서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이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북핵 문제의 6자 회담을 통한 해결을 재확인하자 북한은 그것을 면밀히 검토한 뒤 사흘 후인 이달 3일 '미스터 김정일' 언급을 고리로 부시 대통령의 발언에 호응한 것이다. 북한의 그 같은 제스처는 핵무기 보유선언(2월10일)과 핵군축회담 제의(3월31일),영변 핵원자로 폐연료봉 인출 완료 등의 강경조치에 이은 첫 유화책으로 비쳤으며 곧 복귀의지를 밝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정부 당국자는 "6자 회담이 재개될 경우 보다 진지하고 생산적인 회담이 되도록 하기 위해 관련국간 실질적 의견을 교환했으며 교감도 돼 있다"며 북한의 택일에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