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서울 강남과 분당 용인 등 남부 신도시지역의 아파트 값 급등을 진정시키기 위해 세무조사 등 투기수요 억제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10일 정례 기자브리핑에서 "투기수요에 의해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특별팀을 투입해 자본이득에 대해 철저히 과세하고,거래자금의 원천도 파악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세청은 집값 급등 지역을 중심으로 늦어도 오는 13일부터 대규모 세무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한 부총리는 "일부 지역의 아파트 값 상승이 전국적으로 파급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주택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투기 수요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처하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지역의 주택 값이 오르더라도 저소득·서민계층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공공 소형임대 아파트를 많이 공급해 방화벽을 치는 노력을 강화하겠다"며 "올해 중 1500만평의 택지를 예정대로 공급하면 민간 차원에서 중형 아파트도 많이 공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강남 재건축 규제 완화와 관련,한 부총리는 "재건축으로 공급을 늘린다고 반드시 주택 값이 안정되는 건 아니다"며 "정부는 법과 규정에 따라 재건축 승인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혀 부정적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투기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에 대해선 "가계부채가 아직 많은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면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차병석.김용준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