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연구의 무한한 가능성을 재확인하고 이와 같은 연구의 촉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줄기세포 정상회의'가 11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황우석 서울대 교수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 황 교수는 세계 최초로 동일인의 난자와 체세포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낸데 이어 제3의 여성이 기증한 난자에 난치병 환자의 체세포 핵을 결합시켜 배아줄기세포를 추출한 자신의 연구성과를 설명하면서 줄기세포 연구가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가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황 교수는 또 줄기세포 연구를 둘러싼 논란에 관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볼 때 인공적으로 배양된 줄기세포가 자궁에 착상돼 인간이 될 확률은 없어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인간복제는 구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휴스턴 베일러의대에서 열린 이 회의에서 주최기관인 유전학정책연구소(GPI)의 버너드 시겔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지지 여론을 확산시키기 위해 학계와 시민단체 등의 관계자들이 힘을 모으자"고 촉구했다.


회의에는 이밖에도 줄기세포 연구의 권위자인 제럴드 섀턴 미국 피츠제럴드대 교수, 빌 클린턴 전(前) 대통령의 과학기술보좌관을 역임한 닐 레인 라이스대 교수, 줄기세포 연구 옹호운동 단체인 대니 호이먼 재단의 호이먼 회장 등이 각자의 관점에서 본 줄기세포 연구 증진 방안을 밝히고 참가자들과 토의를 벌였다.


앞서 브라질을 방문해 학술행사 참석과 관련 분야 전문가 면담 등 활동을 펼친 황 교수는 휴스턴 '줄기세포 정상회의' 후 열린 GPI 주최 시상식에서 '글로벌 업적상'을 수상했다.


황 교수는 미국 남부지역의 명문대 가운데 하나인 라이스대학의 데이비드 리본 총장과 면담을 갖고 학문적 성과 교류 등 관심사를 논의했다.


(휴스턴=연합뉴스) 추왕훈 특파원 cwhyn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