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부터 일주일간 열릴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전체회의를 앞두고 여당 재경위원들과 현 정부 경제팀 사이에 예사롭지 않은 `냉기류'가 감돌고 있다. 통상 야당 의원들이 `경제실정(失政)'을 주장하며 공세를 펼 때 가급적 정부 편을 두둔해왔던 여당 의원들이지만 이번에는 "우리도 가만있을 수 없다"며 단단히 벼르고 있다. 시장의 신뢰가 바닥으로 추락한 정부의 경기예측과 대응능력 부재, 당국자의 잦은 발언 번복과 그에 따른 시장의 혼란, 집값 상승을 야기하는 부동산 정책의 표류를 더이상 두고볼 수 없다는 여당내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탓이다. 통화정책을 관장하는 박 승(朴昇) 한국은행 총재가 일차 타깃이 될 전망이다. 말 한마디로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영향력을 지닌 중앙은행 총재가 최근 신중치 못한 발언으로 국내외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렸다고 보고 `책임'을 반드시 추궁하겠다는 게 여당의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일부 강경한 의원들 사이에서는 거취표명까지도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한은은 지난 2월 임시국회 `업무현황' 서면자료에 담은 `외환보유액의 투자대상 통화다변화'라는 문구가 문제가 돼 전세계 금융시장에 충격을 준데 이어, 지난달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박 총재가 `외환시장 불개입' 입장을 시사한 것으로 보도되면서 세계 금융시장이 또다시 충격에 휩싸인 바 있다. 한 초선의원은 "작년 국정감사때 수차례를 지적을 받고도 박 총재가 또다시 잘못된 시그널을 시장에 보내 교란시킨 책임을 묵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경제수장인 한덕수(韓悳洙)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에 대한 여당의원들의 시선도 곱지는 않다. 여당 의원들은 재경부가 내놓은 경기예측의 신뢰성이 떨어지는데다 부동산 투기억제 정책의 `약발'이 시장에서 제대로 먹혀들지 않는다고 보고 이를 집중적으로 따지겠다는 전략이다. 일부 의원들은 한 부총리가 지난달 30일 우리당 워크숍에서 "경제시스템을 안 고치면 일본형 장기불황에 빠질 수 있다"고 한 발언을 문제삼겠다고 말하고 있다. 한 초선의원은 "경제정책의 수장으로서 멀리 내다보고 설계를 해나가야 하는데,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대처하기에 바쁘다"며 "특히 자기만의 `색깔'을 내지 못한채 청와대와 총리실에 휘둘리는 인상을 보이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민경제자문회의 활동을 놓고도 일부 여당의원들의 공세가 예상되고 있다. 국민경제자문회의가 올해초 동북아위원회로부터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업무를 이관받아 추진하고 있으나 이는 또다시 자문기구가 집행부처의 업무영역을 침해하는 우를 범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당의원들이 이처럼 냉랭한 태도를 보이는데는 주요 정책현안이나 입법준비 과정에서 현 정부 경제팀이 사전에 당과 상의없이 중요사안을 일방적으로 발표하거나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도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