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기업 TSMC가 최근 대만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다만 TSMC는 앞서 "모든 공장이 가동중"이라고 밝혔고 업계에서도 심각한 피해를 입진 않았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중국시보 등 현지 매체는 소식통을 인용해 대만 남부 타이난 지역에서 사흘 전 발생한 규모 6.4 지진으로 TSMC 공장 피해가 상당하다고 24일 보도했다. 지난해 4월 규모 7.2 강진으로 입은 피해보다 상황이 좋지 않다는 관측이다. 이에 따르면 타이난에서 12인치(305mm) 웨이퍼(반도체 제조용 실리콘판) 제품을 생산하는 14 팹(반도체 생산공장)과 18 팹에서 웨이퍼가 각각 3만장씩 손상됐다. 18 팹 보다는 14 팹에서 웨이퍼 손상이 더 심각한 상황. 18 팹은 첨단 3나노, 5나노 공정 제품을 생산하고 14 팹은 성숙 공정 반도체(자동차·가전 등에 쓰이는 범용 반도체)를 만든다. 웨이퍼 손상 물량이 추가돼 6만장을 웃돌 가능성이 있다. 피해 현장에서 생산된 제품은 엔비디아, AMD, 인텔 등에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TSMC의 지난해 2분기 총이익률은 당시 지진 피해 여파로 0.5%포인트 감소했다. 공장 가동 중단, 웨이퍼 손실 등에 따라 9200만달러(약 1318억원) 규모의 손해가 발생했다. 대만에 공장을 둔 마이크론의 D램 생산량도 감소했다. 하지만 TSMC 자체적으로는 이번 지진이 지난해 강진보다 영향이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회사 측은 지진 발생 이후 "용수·전력 공급과 작업장 안전 시스템은 정상 작동하고 있고 모든 공장이 가동중"이라며 "세부 검사·충격 평가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일각에선 팹 가동 중단
지난해 사상 최대 순이익을 기록한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이하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68) 최고경영자(CEO)의 연봉이 대폭 인상됐다.JP모건은 23일(현지시간) 공시를 통해 2024년도 다이먼 CEO의 보수로 급여 150만달러(약 21억5000만원), 성과 기반 인센티브 보상 3750만달러(약 539억원)를 각각 부여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도 대비 8.3% 인상된 금액이다.이사회는 또 2023년과 마찬가지로 다이먼과 그의 가족이 "재정 다각화와 세금 납부 목적"으로 JP모건 주식 약 100만주를 매각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이먼과 그의 가족은 현재 750만주를 보유하고 있다.지난해 JP모건의 순이익은 전년 대비 18% 증가한 585억달러(약 84조원)를 기록,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연간 순이익 500억달러를 넘겼다.실적 호조에 힘입어 지난해 JP모건 주가는 41% 급등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BYD코리아가 지난 16일 공개한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BYD 아토3의 사전 계약이 1000대로 집계됐다.24일 BYD코리아에 따르면 지난 16일 브랜드 론칭과 함께 사전 계약을 시작한 아토3는 일주일만인 지난 23일 오후까지 계약 대수 1000대를 돌파했다.아토3는 2022년 첫 출시돼 전 세계에서 100만대 이상 판매된 BYD의 베스트셀링카다.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를 적용해 1회 충전 시 복합 기준 321㎞ 주행한다. 파노라믹 선루프, V2L(자동차 전력을 외부로 끌어 쓰는 기능)과 3D 서라운드 뷰 모니터 등이 탑재됐다. 또 한국 시장 특화 티맵 등이 적용됐다.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는 "BYD 승용 브랜드가 이제 시작했음에도 예상보다 많은 국내 고객들의 높은 관심과 긍정적 평가에 감사한 마음”이라며 “BYD를 선택한 고객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차량 인도 전까지 최고 품질의 상품과 서비스 준비에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