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집값 오름세가 꺾이지 않는 서울 강남권을 대체할 만한 '판교급 신도시'를 추가 건설키로 함에 따라 이른바 '3기 신도시'의 후보지가 어디로 결정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정부가 조만간 후보지 물색에 착수할 판교급 신도시는 하반기 중 입지선정 작업이 완료되면 개발계획 수립 등에 곧바로 착수할 계획이어서 늦어도 4~5년 안에는 주택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강남 인근 입지는 쉽지 않을 듯 전문가들은 서울 강남권 주택수요가 대부분 새 집이나 좀 더 넓은 집으로 옮기려는 이른바 '대체수요'인 만큼 추가 신도시에는 중대형 평형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예컨대 판교의 경우 개발밀도 하향 조정,국민임대주택 대량 건설 등에 가려 결과적으로 수요자들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데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건교부 관계자는 "(추가 신도시) 후보지는 서울근교에 강남을 대체할 만한 규모여야 하며 그린벨트지역은 제외한다는 원칙을 세워놓고 있다"며 "지금으로서는 유력한 후보지가 어디인지 밝히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를 놓고 볼 때 판교급 신도시의 규모는 판교(281만평)보다 넓은 300만평 이상이 될 것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조건을 갖추고 있는 곳이 구체적으로 어디냐는 점이다. 상식적으로 보면 지리적으로 강남과 가까워야 강남권 주택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 이런 조건을 갖춘 곳으로는 과천~양재동 일대 등 청계산 주변과 서울공항 주변, 하남권 등이 꼽힌다. 하지만 이들 지역은 사실상 모두가 그린벨트여서 정부가 제시하는 또다른 조건에 맞지 않는다. 청와대 일각에서도 '그린벨트는 절대 불가(不可)'라는 기류가 강하게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전문가는 "그린벨트를 건드릴 경우 환경단체들의 반발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이 고민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위치보다는 내용이 중요" 정부는 추가 신도시에 대해 '위치보다 생활여건 등 내용면에서 판교에 버금가는 거주여건을 갖춘 곳'이라는 점에 무게를 두는 눈치다. 신도시 규모를 300만평 이상으로 키우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규모 신도시일수록 공원.녹지나 광역 교통망 등 기반시설을 체계적으로 갖추기가 수월하고 '공급이 늘어난다'는 확실한 메시지를 시장에 던져줄 수 있기 때문이다. 건교부 관계자는 "판교급이란 입지보다는 면적, 주거환경, 교통망 등이 판교 수준이라는 의미"라며 "지난 4월 마련한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등을 활용할 경우 굳이 강남 인근이 아니더라도 강남권 주택 수요를 흡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미개발지가 상대적으로 많은 수도권 동북부권이나 서북부권 등을 초대형으로 개발해 강남 수준의 주거환경을 갖추면서도 입지면에서는 차별화된 신도시가 개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근교지역 대부분이 그린벨트여서 후보지 찾기가 쉽지 않은 만큼 지난해 경기도가 광역개발을 주장하며 제시했던 지역들이 후보군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