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의 13일 전체회의에서는 선친의 친일행적 의혹을 받고 있는 열린우리당 소속 김희선(金希宣) 정무위원장의 `거취'를 두고 여야 의원들간에 공방이 벌어졌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독립운동가 집안의 후손임을 강조해온 김 위원장의 과거 행적을 거론하며 위원장직을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월간지 보도 외에 `친일'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 사퇴요구는 `정치공세'라며 맞섰다. 한나라당 김무성(金武星) 의원은 "김 위원장은 과거 이회창(李會昌) 전 한나라당 총재와 조순형(趙舜衡) 전 민주당 대표에 대해 정확한 근거도 없이 선친의 친일행적 의혹을 제기하며 악의적으로 공격한 사실이 있다"면서 "이런 문제로 가슴아팠던 한나라당으로서는 김 위원장의 문제를 동료애로 덮고 넘어갈 수만은 없다"며 사퇴를 요구했다. 같은 당 김정훈(金正薰) 의원은 "언론에 김 위원장 관련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고 보도내용에도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호국.보훈의 달에 열리는 이번 국회에서 보훈처를 관할하는 정무위원장직을 유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압박했다. 같은 당 나경원(羅卿瑗) 의원도 "김 위원장이 의혹을 제기한 월간지를 상대로 법적대응을 하지 않고 있어 의혹을 사실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고 남경필(南景弼) 의원은 "김 위원장 스스로 의혹의 진상규명에 앞장서고 조용히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의 선친인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의 친일경력으로 `맞불'을 놓으며 한나라당 주장을 반박했다. 김현미(金賢美) 의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독립운동을 탄압한 만주군 장교로 복무했고 남로당의 핵심간부였다는 점은 잘 알려진 일"이라며 "김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려면 먼저 박 대표의 거취부터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한나라당의 주장은 살인자를 아버지로 둔 사람은 살인에 반대한다는 말을 할 수 없다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김 위원장 부친이 친일 활동을 했다면 과거사 진상규명위를 통해 규명하면 될 일"이라고 반박했다. 같은 당 전병헌(田炳憲) 의원은 "고락을 같이한 동료 의원을 공격하는 것은 이데올로기와 명분을 떠나서 인간적이지 못하다"면서 "더욱이 구체적 증거와 명료한 사실관계가 아닌 언론 보도를 근거로 공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여야간 공방 속에서 당사자인 김 위원장은 "동료 의원들과 정부 관계자, 국민앞에 나 자신의 처신으로 의혹을 받고 있는데 대해 대단히 죄송하다"고 사과했으나 "단 한번도 독립운동가의 후손임을 의심한 적이 없으며 제기된 의혹과 관련해 조속한 시일내에 진상을 밝힐 것"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이후 김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의사표시로 정무위 간사인 김정훈 의원만 남겨놓고 모두 퇴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유의주기자 yej@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