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개발국과 개도국들이 남남(南南) 협력을 강화하고 선진국들의 통상공세에 공동 대처하기 위해 조직한 G-77 정상회의가 12일 카타르 도하에서 개막됐다. 지난 2000년 쿠바에서 열린 G-77 첫 정상회의에 이어 개최되는 이번 회의는 개막 첫날 재무장관 회담을 시작으로 13일 외무장관 회담, 14∼15일 정상회담 순으로 이어진다. 정상회의에는 타보 음베키 남아공 대통령을 비롯해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에밀 라후드 레바논,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올루세군 오바산조 나이지리아 대통령 등 50개국 정상이 참여할 예정이다. 1964년 출범이후 신생독립국의 가입이 늘어 북한을 포함해 현재 132개국이 참여중인 G-77는 이번 모임을 통해 부채탕감 문제와 함께 올 12월의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에서 선진국들에 맞서 공동보조를 취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클리포드 맘바 스와질랜드 외무장관은 "우리의 목소리를 더 크게 할 필요가 있다"며 수적 우세를 앞세워 선진국들을 상대로 G-77의 공동요구를 관철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피력했다. 브라질과 인도는 이번 회의에서 자국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도와줄 것을 호소할 예정이며, 특히 서아프리카 9개국에 이미 5억달러를 빌려준 인도는 아프리카의 컴퓨터 및 통신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할 방침이다. 아랍국가들은 사우디 아라비아가 2000년 내놓은 팔레스타인-이스라엘 평화안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우디 평화안은 아랍권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하고 이스라엘은 그 대가로 골란고원과 요르단강 서안 등 제3차 중동전쟁때 점령한 땅을 모두 반환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나 이스라엘에 의해 거부됐다. 대다수 참가국들은 또 러시아와 선진국들의 모임인 G-8 재무장관들이 11일 아프리카 국가들의 부채 400억 달러를 탕감해 주기로 합의한 점을 중시해 이번 회의를 통해 빈국들이 선진국에 진 부채를 추가 탕감하도록 촉구할 방침이다. 크리스핀 그레이-존슨 유엔 주재 감비아 대사는 "아프리카 전체가 한계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빈국과 선진국의 불균형이 심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해 빈국에 대한 부채탕감 필요성을 역설했다. 압둘라 발리 유엔 주재 알제리 대사는 "우리는 모두 개도국들인 만큼 서로 뭉쳐야 한다"며 "힘을 합치면 선진국들을 상대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도하 AP=연합뉴스) parksj@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