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학습조직‥윤송이 < SK텔레콤 CI본부장 >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송이 < SK텔레콤 CI본부장 songyeeyoon@nate.com >
우리는 눈에 보이는 부동산이나 손에 잡히는 물건에 비해 눈에 보이지 않는 지식에 대한 가치 평가에 인색한 편이다.
하지만 유형의 자산보다 무형의 지식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과 국제화 등의 사회 변화로 물질이 갖는 자원 가치적 희소성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가치 창출의 핵심이 되는 지식은 산발적으로 생산돼 개인에 의해 관리,발전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지식의 창출과 확산을 위해서는 유형 자산에 버금가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효율적인 지식 관리를 위해서는 지식이 창출한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하는 체계 도입을 선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투입한 물리적인 노력보다는 산출물의 수준을 기준으로 한 평가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
예를 들어 고도의 지식 덕분에 적은 자원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평가절하하거나 지식이 부족해 더 많은 시간과 사람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가치가 높다고 평가하는 그릇된 사회 인식은 지식을 통한 가치 창출을 독려하는 데 장애가 된다.
이 경우 오히려 투입량을 늘려 가치 있는 일처럼 가장하고 평가받으려는 비효율과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지식의 축적과 활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 또한 절실하다.
지식은 그 특성상 공유와 확산을 통해 가치를 전파하더라도 줄어들지 않는다.
오히려 지식의 공유는 더 많은 지식 창출과 확산을 불러모아 선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식을 축적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시스템화해 누구나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일례로 인터넷과 같은 정보 네트워크의 발달은 생물학과 전자공학 간의 정보 교류처럼 이질적 영역의 지식 공유와 확산에 기여했다.
이를 통해 학문적으로 새로운 분야를 창출하기도 했으며 과거 고립된 지식으로 해결할 수 없었던 여러 문제에 대한 대안을 도출하기도 했다.
이처럼 지식의 축적과 활용을 위한 인프라는 지식을 통한 가치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이나 사회가 지식을 중시하는 학습 조직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식 창출을 개인의 역할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조직적이고 시스템화한 지식 관리 체계와 함께 학습을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