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주택공사 등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윤곽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정부는 각 시·도의 낙후도와 지역정서,해당 지자체의 희망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한국전력 등 주요 기관의 이전지역에 대한 큰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오는 24일 수도권 소재 177개 공공기관의 시·도별 배치안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19일 정부와 열린우리당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한전KDN 한국전력거래소 등 2개 자회사와 함께 광주행(行)이 유력시되고 있다. 광주와 울산이 정부에 한국전력 유치신청서를 내고 치열하게 경합 중이지만 정부가 가장 우선시하는 기준인 '낙후도'를 감안할 때 광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열린우리당 관계자들의 관측이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분석에 따르면 16개 시·도 가운데 울산시는 △인구증가율 △1인당 소득·법인세 납부실적 △1인당 지방세 납부실적 △1인당 지역 내 총생산(GRDP) 등에서 1,2위를 기록하고 있는 반면 광주시는 이 모든 부문에서 울산시에 크게 뒤진다. 한전이 광주로 이전하게 되면 울산시는 지역산업 연관성 등에 대한 고려에 따라 가스공사와 석유공사 등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택공사는 전남과 대구 등이,토지공사는 전북과 부산이 각각 경합을 벌이고 있지만 이 역시 낙후도에서 하위권을 형성하고 있는 전남과 전북이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한국자산관리공사는 부산,도로공사는 경남,농업기반공사는 전북이 유치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