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월세 PER 26배 vs 증시 밸류에이션 정체..한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동산과 주식시장 모두 금리 하락을 향유했으나 부동산의 주가수익배율은 상향된 반면 주식시장은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21일 한국투자증권의 김세중 전략가는 부동산과 주식의 운용자금 성격이 다르고 기대수익률도 차별화된 시장분할적 특성은 갖고 있으나 양 시장 모두 금리 하락을 향유했음에도 밸류에이션 결과가 지나치게 판이하다고 진단했다.
실질금리가 급락하면서 2001년 연말이후 부동산 시장에서는 매매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전세/매매 가격이 급속도로 하락,부동산시장에서 밸류에이션이 상향 조정된 것이나 다름 없다고 설명.
예로 서울지역의 월세기준의 주가수익배율(PER)는 현재 26배까지 치솟은 반면 MSCI Korea의 12개월 예상 PER는 7.8배에 불과.
김 연구원은 "물론 부동산은 보유후 하락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심리가 팽배해 위험조정 수익률이 주식보다 크다"며"따라서 주식의 변동리스크가 커 밸류에이션 상향 조정이 쉽지 않을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주식시장도 이익과 변동성이 점차 축소되고 있어 이같은 밸류에이션 상향 조정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적립식 펀드의 지속적 확장도 증시의 위험 프리미엄을 줄여 밸류에이션 상향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했다.
한경닷컴 박병우기자 parkb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