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교보증권은 엔터테인먼트 업종에 대해 현재 가치보다는 미래가치에 더 높은 비중을 두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 증권사 황성진 연구원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플랫폼 분화와 대기업 자본 유입에 따른 대형화 등으로 구조적 변화의 중심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개정 저적권법 시행으로 온라인 음원 유료화에 대한 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으며 소비자들의 거부감도 점차 완화되는 추세여서 향후 온라인 음원 시장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 영화와 드라마도 신규 미디어의 등장과 해외시장 개척으로 경제적 부가가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관련 업체들의 주가 상승은 산업구조 개편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다소 과열권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 CJ엔터테인먼트나 IHQ, 예당 등의 종목에 대한 선별투자가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