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혁신위원회(위원장 홍준표 의원)는 21일 대선 후보 선출 때 여론조사 결과를 반영토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당 혁신안을 발표했다. 또 대선 경선을 공정하게 관리하기 위해 선거 1년6개월 전에 당권·대권을 분리,대선후보가 상임고문직 이외의 당직을 맡지 않도록 했다. 혁신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차기 대선 선출과 지도체제,대북 정책 등과 관련된 혁신방안을 논의해 이같이 확정했다. 그러나 혁신 방안에 대해 당내 대선주자들의 이해관계가 달라 최종 확정과정에서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홍 위원장은 혁신안 수용을 위해 내년 5월31일 실시되는 지방선거 이전에 전당대회를 개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 7월까지인 임기 이전의 전대 개최에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는 박근혜 대표와 마찰이 예상된다. 당장 박 대표의 한 측근은 "이 당이 홍준표 당이냐"며 발끈했다. 혁신위는 대선 후보를 뽑는 선거인단의 총수를 총 유권자의 0.1% 이상으로 구성토록 했다. 구성비율은 전당대회 대의원 20%,당원 선거인단 30%,일반국민 선거인단 30%로 정했다. 눈에 띄는 대목은 여기에 여론조사 결과를 20% 반영키로 한 것이다. 이럴 경우 각종 여론조사에서 1,2위를 다투는 박 대표나 이명박 서울시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여론지지율이 낮은 손학규 경기도지사,강재섭 원내대표측의 불만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현행 '대표-원내대표 투톱체제'를 개편해 당무집행기구로 최고위원회의를 두는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키로 했다. 그러나 박 대표가 집단지도체제에 대해 거부감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당론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 또 국회의원 비례대표 의석의 30%를 호남과 충청 등 전략지역 출신자에게 우선 배정토록 했다. 대북정책의 기조를 기존 '호혜적 상호주의'에서 '유연하고 적극적인 상호공존' 원칙으로 전환했다. '반통일세력' 이미지에서 벗어나자는 취지로 보인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