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판교신도시의 전용면적 25.7평 초과 중·대형 아파트를 대한주택공사 등 공공기관이 일괄 건설해 분양 또는 임대하도록 하는 공공개발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21일 "판교의 중·대형 아파트 용지 입찰을 보류한 것에 대해 시장에선 중·대형 공급을 늘리려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그건 아니다"라며 "판교 개발 방식을 어떻게 할지 재검토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이 최근 부동산 정책에서 공공부문의 역할을 강조했는데,(판교신도시 개발도) 공영개발,임대 확대 등 공공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며 "만약 주공 등 공공부문이 개발을 한다면 아파트 분양원가가 공개되고 이익 환수가 쉬운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판교 신도시의 중·대형 아파트는 민영개발 방식에서 주공 등이 일괄 건설해 분양 또는 임대하는 공공개발 형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처럼 판교의 중대형 아파트 공급 주체를 민간 건설사에서 공공기관으로 바꾸려면 판교신도시 실시계획을 변경해야 하므로 연내 분양은 어렵고,내년 상반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판교신도시의 중·대형 공급 물량과 관련,정부의 또 다른 관계자는 "판교의 중대형 아파트 공급을 공공개발 방식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용적률 변경 등 공급 물량을 늘릴지 여부도 함께 검토할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정부는 판교에 중대형 공급을 늘린다고 최근 집값 급등이 잡힐 것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원혜영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도 지난 20일 라디오 방송에서 "단순한 공급물량 증대는 현재 투기·투자 수요가 400조원이 넘기 때문에 물 한 바가지 더 붓는 것과 같다"며 "수요를 함께 조절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었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