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신도시의 공공개발 추진 소식이 알려진 이후에도 강남권과 분당 부동산 시장에선 기존의 관망 분위기가 이어졌다. 공공개발의 실체가 아직 명확하지 않은 까닭이다. 그러나 부동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재원 마련 △청약 과열 △청약자 혼란 △강남권 희소가치 부각 등의 부작용을 들어 공공개발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시장은 '좀더 지켜보자' 판교신도시와 접한 분당신도시에선 이번 주 들어서도 거래 공백 상태가 이어졌다. 매수 문의도 뜸하고 매물도 나오지 않고 있다. 유영금 이매동 금탑공인 사장은 "매수 문의는 거의 없고 집주인들이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 확인하는 전화만 가끔 온다"며 "판교 공공개발론의 실체가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어서 당장 시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권도 비슷한 분위기다. 가격은 보합세이고 거래는 없다. 유인상 강남구 역삼동 푸르지오공인 사장은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정부 대책이 나오는 8월까지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장찬수 송파구 가락동 신한공인 사장은 "매수자들은 현 시세보다 3000만원 정도 낮아지면 사겠다는 느긋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선 중개업소들은 정부가 중·대형 공급 확대책을 내놓지 않으면서 공영개발을 통해 판교의 임대아파트 가구 수를 늘린다면 강남권과 분당의 집값이 다시 폭등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공공개발 부작용 만만치 않아 부동산 전문가들은 공공개발이 이뤄질 경우 부작용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손재영 건국대 교수는 "중·대형 평형 공급을 확대해도 시원찮은 마당에 공공개발을 통해 판교의 임대아파트를 늘린다면 강남권 집값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재원 마련에도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곽창석 부동산퍼스트 이사는 "그동안 판교를 노리며 청약통장을 아껴온 사람이 많다"며 "임대아파트가 늘어나면 청약 기회를 박탈당한 사람들의 반발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공공개발을 하면 단기적으로 주변 집값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보겠지만 품질이 떨어져 강남 수요를 분산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형 삼성생명 프라이빗뱅킹(PB)센터 차장은 "판교의 품질이 낮아질 경우 강남권의 희소가치가 더욱 부각되면서 집값이 또 뛸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