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은 24일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지역별 발전 정도와 각 기관의 업무특성을 고려해 효율적이고 공평하게 이뤄졌다"며 "지방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은 물론 과거 국토의 개발불균형으로 야기된 지역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지자체와 해당 기관 노동조합의 반발 움직임이 있는데. "정부 결정에 대해 섭섭해하는 지자체와 노조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공공기관 이전 대상지는 각 지역 발전전략과 국토균형발전이란 큰 틀에서 결정돼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 이전 기관 직원들에 대한 지원대책을 구체적으로 마련해 주거 등에 아무 불편이 없게 해주면 노조 반발도 줄어들 것이다." -공공기관의 전체 이전 비용은 얼마나 되나. "각 공공기관의 구체적인 입지가 정해지지 않았고 사옥 규모도 불확실해 현재로선 정확한 금액을 산정할 수 없다. 입지 선정과 사옥 설계 등 본격적인 이전 절차가 윤곽을 드러내는 1년 후쯤이면 대략적인 비용을 추산할 수 있을 것이다." -혁신도시 개발로 예상되는 부동산투기는 어떻게 잡을 것인가. "정부는 혁신도시 지역의 땅값 상승에 대해 철저한 대처방안을 마련할 것이다. 정상적인 방법이 아니면 어떤 개발이익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혁신도시 지역은 입지 선정과 동시에 토지거래 허가 구역과 토지 투기지역으로 묶을 계획이며 행정중심복합도시처럼 일정기간 개발을 억제하는 등 강력한 투기 억제조치를 취할 것이다." -한국전력 등 일부 기관은 기존 사옥과 부지를 팔지 않겠다는데. "이 부분에 대한 정부 의지는 강하다. 이전대상 기관은 기존 사옥과 부지 매각을 통해 이전비용을 충당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