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이전지역 확정] 주공.토공.도공 먼저 이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도권 소재 176개 공공기관의 이전지역(시·도)이 확정됨에 따라 이들이 집단이전할 혁신도시 선정이나 기관별 이전 계획 수립 등이 단계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우선 오는 9월 말까지 이전 기관과 시·도,주무부처가 '이전 이행협약'을 체결하게 된다. 협약서에는 이전 시기와 지역은 물론 기관별 각종 지원사항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될 예정이다.
또 7월 말까지 마련될 혁신도시 입지선정 지침에 따라 11개 시·도(대전,충남 제외)는 이전 대상 기관과 협의를 거쳐 9월 말까지 선정작업을 마치고 올해 말부터는 건설기본계획 수립,환경영향평가 등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물론 기관별로 사업추진 일정이 다르지만 정부는 각종 인·허가에 17개월,용지보상에 12개월,사옥설계 12개월,사옥건축 및 이전에 39개월 등이 각각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특히 혁신도시는 10만~50만평 규모로 들어서 4000~2만명을 수용할 계획이다. 이에 필요한 비용은 청사보유기관(106개)은 기존 건물·부지 매각대금으로 충당하고 나머지는 공동 청사를 짓거나 BTL(민간이 건설 후 임차)방식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이렇게 조성된 혁신도시는 주변 연구기관,기업,대학 등을 연결하는 지역거점으로 활용된다.
건교부 관계자는 "내년 하반기부터는 용지보상과 사옥 설계가 이뤄지고 2~3년간의 건축공사를 거쳐 2007년에 최초 입주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행정도시 이전 시기에 맞춰 오는 2012년까지는 모든 기관의 이전을 마칠 방침"이라고 말했다.
다만 건설교통부는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한국도로공사 등 산하기관의 경우 공공기관 이전을 선도한다는 차원에서 오는 2010년까지 모두 이전키로 했다. 또 혁신도시 밖으로 옮기는 기관은 가급적 조기 이전을 추진한다는 게 정부의 기본 방침이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